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겉으로는 오한·발열과 두통이 있고 속에서는 대소변이 막히는 등 병세가 매우 심한 경우에 응용되는 처방.
이 처방의 효능은 신온해표(맵고 따뜻한 약물로 땀을 내어 사기를 몰아내는 방법)·청열해독(찬 약물로 열을 내리고 뭉친 독기를 해소시키는 방법)·사하(설사하게 하는 것)·이수(이뇨) 등이 있다. 따라서 평소 건장하던 사람이 찬바람에 많이 쐬어서 생기는 두통·오한·발열 외에 땀이 나지 않는 것, 기침 등의 증상과 입이 쓰고 갈증이 나며 눈이 충혈되고 목이 아프고 초초함, 복부팽만감 등의 속에 열이 꽉 찬 증후 및 고열과 정신병, 피부병 등에도 효과가 있다.
처방의 구성은 방풍·형개·마황·박하·연교·당귀·천궁·백작약·백출·치자·대황·망초·석고·황금·길경·활석·감초 등이며 약력이 강하므로 속에 열이 차서 생긴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