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산형과 |
---|---|
성격 | 식물, 풀 |
유형 | 동식물 |
크기 | 높이 1m |
학명 |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WOLFF |
분야 | 과학/식물 |
개화기 | 7∼8월 |
요약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내용
학명은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WOLFF이다. 높이는 1m에 달하고 가지가 많으며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3회우상복엽(三回羽狀複葉)으로 어긋난다. 열편(裂片)은 선형(線形)으로 끝이 뾰족하고 굳으며 많은 근생엽이 한 군데에 총생한다. 꽃은 백색으로 7∼8월에 핀다.
뿌리에는 해열·진통의 약리작용이 있어서 건조시켜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온화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달다. 감기로 전신에 통증이 있고 특히 관절과 근육에 동통이 심할 때 사용하면 열을 내려 주고 땀을 나게 하면서 통증을 가라앉힌다.
평소 체질이 허약하여 편두통이 있고 어지러운 증상을 느끼는 사람에게 유효하며, 피부질환에 습진이 생기고 소양증(搔痒症)이 심할 때도 많이 쓰인다. 빈혈로 두통이 있을 때에는 쓰지 않고, 강황(薑黃)·여로(藜蘆)와의 배합도 꺼린다.
대표적인 처방은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이 있다. 또, 옛날에는 어린싹을 따서 죽에 섞어 먹기도 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도문대작(屠門大嚼)』
- ・ 『본초강목(本草綱目)』
- ・ 『中藥大辭典』(江蘇新醫學院, 上海 科技出版社, 197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방풍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