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문형시

다른 표기 언어 pattern poetry , 紋型詩 동의어 형태시, shaped poetry, 구체시, concrete poetry, 모형시

요약 낱말이 가진 감정적인 내용을 표현·확대시키기 위해 행이나 활자를 배열한 시.

형태시(shaped poetry)·입체시(cubist poetry)·구체시(concrete poetry)·모형시라고도 부른다. 고대(동양으로 추측)에 기원을 둔 이 시형태는 〈그리스 사화집 Anthology〉(980경)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시집에 실린 시 1편은 도끼 모양으로, 또다른 시는 달걀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 이후의 유명한 보기로는 16세기 영국의 형이상학파 시인인 조지 허버트가 쓴 날개 모양의 〈부활절 날개 Easter Wings〉와 제단 모양의 〈성단 The Altar〉이라는 시를 들 수 있다.

19세기 프랑스의 상징파 시인인 스테판 말라르메는 〈주사위 던지기 Un Coup de dés〉(1897)라는 시집에서 다양한 크기의 활자를 썼다.

문형시를 쓴 20세기 프랑스의 대표적 시인은 기욤 아폴리네르인데, 주제의 모든 측면을 동시에 표현하려고 애쓰는 입체파 화가들의 노력에서 영감을 얻은 그의 〈칼리그람 Calligrammes〉(1918)은 시이지만 시각적인 인상을 불러일으킨다. 예를 들어 비에 대한 시에서는 낱말이 길고 비스듬한 행으로 배열되어 있다. 미국의 시인인 E. E. 커밍스(1894~1962)의 시는 인쇄 체재가 특이한 것으로 유명한데, 그는 아마도 이런 시각적 혁신을 시의 의미있는 요소로 만드는 데 가장 성공한 시인이었을 것이다.

일부 구체 시인들은 쇠를 비롯한 내구성있는 재료를 이용해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시를 만들기도 했다(→ 구체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문형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