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문경시의 유물·유적·관광

다른 표기 언어

국가지정문화재(보물 8, 사적 1, 천연기념물 2, 중요무형문화재 2),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5, 기념물 6, 민속자료 1, 무형문화재 5), 문화재자료 18점, 등록문화재 2점이 있다.

선사시대의 유물·유적으로는 흥덕동에서 마제석촉이 발견되었으며, 문화재로는 내화리3층석탑(內化里三層石塔, 보물 제51호),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 보물 제137호), 봉암사3층석탑(鳳巖寺三層石塔, 보물 제169호),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鳳巖寺靜眞大師圓悟塔, 보물 제171호), 대승사목각탱 및 관계문서(보물 제575호) 등과 봉암사마애보살좌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1호)·미륵사지마애여래좌상 등의 불상이 있다.

사적으로는 문경관문(사적 제147호, 제1관문 主屹關, 제2관문 鳥谷關, 제3관문 鳥嶺關)이 있으며, 농암면의 반송(천연기념물 제292호)과 홍귀달선생신도비(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2호) 등이 있다. 이외에 조선시대 40개 찰방역(察訪驛) 가운데 하나였던 유곡역에 관한 사실을 알리는 유곡역지비석(幽谷驛址碑石)들이 점촌북초등학교 정문 앞에 수집되어 있다.

문경새재도립공원

문경 제1관문인 주흘관(主屹關)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문경새재도립공원은 조령에 있는 문경 제1, 2, 3 관문 외에 주봉인 주흘산을 비롯해 폭포·계곡·기암·약수터 등 수려한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자원을 갖추고 있다. 주흘산과 조령산은 사철 등산객이 즐겨 찾는 곳으로, 주흘산의 대표적인 등산 코스는 제1관문-여궁폭포-혜국사-샘터-주흘산 정상-제2관문으로 이어진다. 문경새재도립공원 내의 집단시설지구는 극기훈련장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경북8경의 하나인 영강은 수석산지로 유명하다.

한편 불정동의 수정봉 기슭에 있는 운암사(雲巖寺)는 신라 무열왕 때 의상이 창건한 고찰로서 주변의 빼어난 카르스트 지형과 더불어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문경시의 유물·유적·관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