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묵가

다른 표기 언어 Mohism , 墨家

요약 BC 5세기에 묵자(墨子)가 창시한 중국의 철학 유파.
Moism이라고도 씀.

이 철학은 BC 3세기경까지 당시 지배적이던 유교이념에 도전했다. 묵자는 겸애(박애주의)를 주장했고, 하늘 또는 상제의 뜻에 순종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또 유교가 형식적인 의식이나 예식을 중시하는 것은 국고를 낭비하는 짓이라고 개탄했다.

유교의 도덕관념인 은 부모나 가족에 대한 특별한 사랑과 인간에 대한 일반적인 사랑을 구별한 반면, 묵가는 '보편적인 사랑', 즉 차별없는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편적 사랑이라는 묵가의 개념은 유교 국가가 사회적 화합을 이룰 수 있는 실제적 바탕이자 이론적 토대인 가족의 화합에 근본적으로 도전하고 있었기 때문에 유교 사상가들, 특히 맹자로부터 맹렬한 공격을 받았다.

묵자(墨子)

ⓒ Koavf/wikipedia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동양철학

동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묵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