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무당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각종 도구.
이에는 장구·징·제금 등의 무악기와 점통·엽전 등의 무점구, 그외에 칼·작두·부채·방울·오색기 등이 있다. 무구는 지역에 따라 특징이 있으며, 특히 중북부지역과 남부지역은 많은 차이가 있다.
무악기의 경우 북쪽지역으로 올라갈수록 장구·징·꽹과리 등의 타악기가 발달하고, 남쪽으로 내려 올수록 타악기 외에 피리·젓대·해금 등의 관악기와 현악기가 고루 쓰이고 있다. 무점구 역시 강신무 지역인 중북부지역에서 발달하고, 제주도를 제외한 세습무 지역인 호남·영남 지방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제주도에서는 맹두·천문·산판 등을 무점구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언월도·삼지창·작두·신칼 등의 무구도 중북부지역에서는 신의 위력을 나타내거나 신의 의사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주 사용되나, 남부지역에서는 형식적으로 사용될 뿐이다.
방울 역시 강신무 지역에서는 강신의 도구로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세습무 지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무구에 있어서 중북부지역과 남부지역이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무당의 성격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중북부지역의 무당들은 강신무로서 직접 신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신을 내리거나 신을 나타내는 데 필요한 많은 무구가 발달한 반면, 세습무권인 남부지역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단순한 형태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