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주로 사장석과 휘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래 현무암이 상응하는 관입 심성암. 현무암이 구성광물과 화학조성면에서 상당히 균일한 데 반해 반려암은 변화가 심하다. 가끔 치수석재(상업용 검은 화강암)로 사용하기 위해 채취하기도 하고, 캘리포니아 남부의 산마르코스 반려암은 계측기판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직접적인 경제적 가치는 매우 작다. 어떤 반려암 복합체는 곳곳에 줄무늬가 있고 균일하지 않으며 층도 불규칙적이다. 온타리오 주 서드베리에 있는 대규모의 암분, 미네소타 주 비버 만과 뉴저지 주 펠리세이드스에 있는 것으로 추측되는 더 큰 몇몇 휘록암 관입암상(다른 암석 사이에 끼어 있는 판상 암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많은 카루 휘록암 등이 이에 속한다.
주로 사장석과 휘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물. 본래 반려암은 현무암이 상응하는 관입 심성암이다. 현무암이 구성광물과 화학조성면에서 상당히 균일한 데 반해 반려암은 변화가 심하다. 가끔 치수석재(値數石材:상업용 검은 화강암)로 사용하기 위해 채취하기도 하고, 캘리포니아 남부의 산마르코스 반려암은 계측기판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직접적인 경제적 가치는 매우 작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니켈·크로뮴·백금의 1차 광화작용이 거의 반려암이나 초염기성(실리카가 매우 적은)암과 관련될 때만 일어난다는 것이다. 제1차 자철석(철)광화작용과 타이타늄(티탄)철석 광화작용은 종종 반려암 복합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단일광물 암석이나 2종광물 암석이 잘 발달된 대상 또는 층상(層狀)의 반려암 복합체는 몬태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보쉬벨드, 스카이 섬에서 발견된다. 어떤 반려암 복합체는 곳곳에 줄무늬가 있고 균일하지 않으며 층도 불규칙적이다. 온타리오 주 서드베리에 있는 대규모의 암분(岩盆), 미네소타 주 비버 만과 뉴저지 주 펠리세이드스에 있는 것으로 추측되는 더 큰 몇몇 휘록암 관입암상(다른 암석 사이에 끼어 있는 판상 암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많은 카루(Karoo) 휘록암 등이 이에 속한다(→ 펠리세이드스 암상).
미네소타 주 덜루스에 있는 암분은, 층을 이룬 반려암 복합체와 층을 이루지 않은 반려암 복합체의 분류에 들지 않는 중간적인 특징을 가진 암체의 뚜렷한 예이다. 이 관입암 복합체의 아랫부분은 감람석반려암의 일반적인 조성을 갖지만, 줄무늬 모양이 뚜렷하고 줄무늬마다 그 조성이 사장암에서 감람암(래브라도라이트와 감람석을 함유하는 단일광물 암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윗부분은 비교적 균일한 장석질반려암으로 곳곳에 불완전한 줄무늬가 있지만 뚜렷한 대상구조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 두 부분 사이와 장석질 반려암 윗부분에는 미문상반암 또는 마이크로페그마타이트질 화강암대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