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BC 69 |
---|---|
사망 | AD 4 |
국적 | 신라, 한국 |
요약 신라 제1대 왕이자 박씨의 시조로 칭호는 거서간.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의하면 박 모양의 알에서 태어나 '박(朴)'이라는 성을 붙였으며 혁거세는 이름이 아닌 존호로 '밝은 세상'이라는 뜻이다. 일명 불구내라고도 한다. 나라이름은 서라벌이라 하고 알영을 왕비로 맞아들였다. 즉위 후 왕비와 함께 6부를 돌며 농사와 양잠을 장려했고, 서울을 금성으로 정하고 성을 쌓았다. 죽은 뒤 담암사 북쪽의 사릉에 묻혔다.
왕호는 거서간. 박씨의 시조이며 일명 불구내(弗矩內)라고도 한다. 비는 사량(沙梁) 출신인 알영부인(閼英夫人)이다. 고조선의 멸망과 잇따른 북방의 정치적 격변 등에 따른 유이민의 파동으로 남부지역에는 많은 소국이 형성되었는데, 경주평야를중심으로 급량(及梁)·모량(牟梁:혹은漸梁)·사량(沙梁)·본피(本彼)·한지·습비(習比) 등 6족의 후예들이 사로국을 형성, 양산촌(楊山村)·고허촌·진지촌(珍支村)·대수촌(大樹村)·가리촌·고야촌 등 6개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
〈삼국유사〉·〈삼국사기〉에 의하면, 고허촌장 소벌공(蘇伐公)이 양산 기슭 나정 곁 숲속에서 큰 알을 발견했는데, 알 속에서 어린아이가 나와 이 아이를 길렀다. 그의 나이 13세가 되던 해 6촌의 촌장들은 그의 출생이 신이(神異)하다고 하여 왕으로 삼았다고 한다.
나라이름은 서라벌(徐羅伐:徐伐·徐那伐)이라 하고 즉위와 동시에 알영을 왕비로 맞아들였는데, 알영은 사량촌의 알영정 가에 출현한 계룡이 그 왼쪽 갈비에서 탄생시킨 용녀라고 한다. 즉위 후 왕비와 함께 6부를 돌며 농사와 양잠을 장려했으며, 서울을 금성(金城)으로 정하고 성을쌓았다. 죽은 뒤 담암사(曇巖寺) 북쪽에 있는 사릉(蛇陵)에 장사 지냈다. 박[瓠]과같이 생긴 알에서 나왔다고 하여 박(朴)이라는 성을 붙였으며, 혁거세(赫居世)는 이름이 아닌 존호(尊號)로, 불구내라고 한다. 이는 '혁'(赫)을 뜻으로읽고 '거'(居)를 음으로 읽은 '불구'와, '세'(世)를 뜻으로 읽은 '내'를 합한 것으로 '뉘', 즉 '밝은 세상'의 뜻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