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84(고종 21), 경기 파주 |
---|---|
사망 | 1949 |
국적 | 한국 |
호 | 남파(南坡) |
요약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상해 임시정부의 대중국 외교활동의 중심인물이었고, 해방후에는 한국독립당에서 적극활동했다. 본관은 반남. 호는 남파. 일명 박정일(朴精一)·박순(朴純)·박창익(朴昌益). 1904년 관립상공학교 재학중 국권회복운동을 계획하다 퇴학당한후, 1907년 비밀결사 신민회에 가입했다. 1910년 관립공업전습소를 졸업하고 한일합병이되자 만주 용정으로 망명해 이상설 등과 함께 독립투쟁에 가담하는 한편, 나철의 권유로 대종교에 입교해 정교(正敎)로서 포교활동도 했다.
이후 상하이[上海]로 가서 신규식과 함께 동제사를 조직하고 노령의 동지들과 긴밀히 연락했다. 1918년 11월지린[吉林]에서 조소앙·김동삼 등 39명 명의의 무오독립선언 발표에 참가했고, 1919년 3·1운동후 상해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임시의정원 의원에 선출되었다. 1921년 7월 임시정부 외무부 외사국장 겸 외무차장 대리로 외교임무를 전담했다. 같은 해 11월 쑨원[孫文]의 중국국민당이 광둥[廣東]에 중국호법정부(中國護法政府)를 수립하자 신규식과 함께 외교를 전개, 임시정부를 승인하게 하는 등 대중국외교를 담당했다. 1930년 한국국민당조직에 참가하고 대한독립당 대표로 난징[南京] 정부에 파견되어 활동했다.
1932년 윤봉길의 의거 이후 임시정부를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해 중국정부와 교섭을 벌였으며, 난징 중앙군관학교, 뤄양[洛陽] 군관학교에 독립군 간부양성 과정을 설치하는 데 기여했다. 1940년 임시정부가충칭[重慶]으로 옮긴 후 국무위원으로 활약했으며, 1943년 5월에는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해방 후에는 임시정부 주화(駐華) 대표단장으로 활동했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