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04. 6. 21, 전남 광산 |
---|---|
사망 | 1938. 5. 12 |
국적 | 한국 |
요약
시인. 예술의 순수성을 내세운 시를 썼고 외국의 시와 희곡 등을 번역했다. 대표작으로 <박용철전집>이 있다.
예술의 순수성을 내세운 시를 썼고 외국의 시와 희곡 등을 번역하기도 했다. 1916년 광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휘문의숙에 입학했다가 바로 배재학당으로 전학했다. 그러나 졸업을 몇 달 앞둔 1920년 자퇴해 귀향했다. 그뒤 일본 아오야마 학원[靑山學院] 중학부를 거쳐 1923년 도쿄 외국어학교 독문과에 입학했다가 관동대지진이 일어나 귀국했다. 연희전문학교에 임학했으나 몇 달 뒤 자퇴해 문학에만 전념했다. 1938년 5월 후두결핵으로 죽었다.
그가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아오야마 학원 시절 김영랑과 사귀면서부터이다. 1930년 김영랑·정지용과 함께 시동인지 〈시문학〉을 창간해 편집과 재정을 맡아보면서 본격적인 문단활동을 하게 되었다. 〈시문학〉 창간호에 〈싸늘한 이마〉·〈떠나가는 배〉·〈비내리는 밤〉 등을 발표했다. 1931년 〈문예월간〉에 이어 1933년 〈문학〉을 펴내 편집을 맡아보면서 번역가·비평가로 활동했다.
1935년 시문학사에서 일하면서 〈정지용시집〉·〈영랑시집〉을 펴냈으며, 해외문학과 극예술연구회에 참여해 입센의 〈인형의 집〉 등을 번역하기도 했다. 특히 1935년 12월에 발표한 〈올해문단총평〉에서는 김기림과 임화의 시를 비판하고 정지용의 시를 옹호해 임화와 기교주의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그뒤에 발표한 평론〈시적 변용에 대하여〉(삼천리 문학, 1938. 11)는 그의 시론의 뿌리를 보여주는 평론으로서 계급주의와 민족주의 문학 모두를 배격하고 존재로서의 시론, 즉 선시적인 것에 더욱 의미를 두었다.
비평가는 예술의 사회적 효과에 대한 청우계(晴雨計) 구실을 해야 한다고 했으며 M. 하우스만의 영향을 받아 인상주의 비평을 주로 했다. 또한 서구문학사조에 강한 영향을 받던 당시의 문단에 민족언어의 완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죽은 뒤 시문학사에서 〈박용철전집〉(1939) 3권을 펴냈고 광주공원에 김영랑의 시비와 함께 그의 시비도 세워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