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박세영

다른 표기 언어 朴世永 동의어 백하, 白河
요약 테이블
출생 1907. 7. 5, 경기 고양
사망 1989. 2. 28
국적 북한

요약 엄혹한 현실 속에서도 자유에 대한 염원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았던 진보적인 정신의 궤적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시인이다.
1917년 배재고등보통학교 재학중 송영 등의 동기생들과 함께 소년문예구락부를 조직하고 동인지 <새누리>를 펴냈다. 1924년 이호, 이적효 등과 교유하면서 마크스주의에 대한 학습을 했으다. 송영과 함께 무산계급 아동잡지인 <별나라>의 편집을 담당하면서 무산계급 아동을 위한 다수의 동시를 창작하기도 했다. 작품 활동은 1927년 <문예시대>에 <농부 아들의 탄식>, <해빈의 처녀> 등을 발표하면서 시작했다. 시집으로 <산제비>(1938), <박세영 시전집>(1956) 등이 있다. 1959년 북한의 애국가를 작사한 공로로 국기훈장 2급을 받았다.

호는 백하(白河). 가난한 선비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1917년 배재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 송영(宋影) 등의 동기생들과 함께 소년문예구락부를 조직하고 동인지 〈새누리〉를 펴냈다. 졸업 후 중국으로 건너가 송영 등이 주도한 사회주의 문화단체인 염군사에 중국 특파원 자격으로 가담했다. 1924년 귀국한 박세영은 이호·이적효 등과 교유하면서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학습을 했으며, 1925년 연희전문학교에 편입하고 그해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KAPF)에 가입했다.

송영과 함께 무산계급 아동잡지인 〈별나라〉의 편집을 담당하면서 무산계급 아동을 위한 다수의 동시를 창작하기도 했다. 해방 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했다.

1946년 월북한 뒤로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출판부장 등을 거쳐 1948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1967년 조선작가동맹 상임위원 등을 역임했다. 작품 활동은 1927년 〈문예시대〉에 〈농부 아들의 탄식〉·〈해빈의 처녀〉 등을 발표하면서 비롯되었다. 이어 발표한 작품으로 〈산골의 공장〉(신계단, 1932. 11)·〈산제비〉(낭만, 1936. 11)·〈위원회 가는 길〉(우리문학, 1946. 1) 등이 있다.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는 〈산제비〉·〈오후의 마천령〉·〈타적〉등이 있으며, 엄혹한 현실 속에서도 자유에 대한 염원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았던 진보적인 정신의 궤적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집으로 〈산제비〉(1938)·〈진리〉(1946)·〈박세영 시전집〉(1956) 등이 있다. 1959년 북한의 애국가를 작사한 공로로 국기훈장 2급을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박세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