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바하 울라

다른 표기 언어 Baha' Ullah
요약 테이블
출생 1817. 11. 12, 테헤란
사망 1892. 5. 29, 팔레스타인 아크레(지금의 이스라엘 아코)

요약 바하이교의 창시자.
Bahā⁾ Allāh('신의 영광'이라는 뜻)라고도 씀. 본명은 Mīrzā Ḥoseyn ⁽Alī Nūrī (Mīrzā Ḥusayn ⁽Alī Nūrī).

바하이교가 숨은 신의 현시(顯示)라고 주장했다. 처음에는 이슬람교 시아파였으나 뒤에 시라즈의 미르자 알리 모하마드 문하에 들어갔다. 바브(Bāb:아랍어로 '門'이라는 뜻)로 알려진 미르자 알리는 자신들만이 궁극적으로 진실에 접근할 특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이슬람교의 한 분파인 바브교의 지도자였다.

페르시아 정부가 바브를 반역죄로 처벌한(1850) 뒤, 바하 울라는 자신의 이복형제이자 바브의 후계자로서 바브교 운동을 지도하고 있던 미르자 야히아(Ṣobḥ-e Azal이라고도 함)와 합류했다. 뒤에 미르자 야히아가 불신을 받게 되자 바하 울라는 정통 수니파 이슬람교도에 의해 차례로 바그다드·쿠르디스탄·콘스탄티노플로 쫓겨났다.

망명생활을 하던 중 그는 1867년 자신을 신에게 선택된 이맘 마디(imāmmahdῑ :올바로 인도된 지도자)라고 선언했는데 이는 이전에 바브가 예언한 것이었다. 그결과로 일어난 분파투쟁 때문에 오스만 정부는 바하 울라를 아크레로 추방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크레에서 바하 울라로 불리며 이전에 한 지역에 국한되었던 바하이 교리를 모든 종교의 통합과 인간의 전세계적 형제관계를 주장하는 포괄적인 가르침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또 사회적 윤리를 강조하여 형식적인 예배의식을 피하고 민족적·계급적·종교적 편견을 없애는 데 헌신했다. 아크레에서 그가 감금되었던 장소는 페르시아와 미국에서 온 바하이교도들의 순례지가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바하 울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