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미상 |
국적 | 그리스 |
요약 BC 5세기에 활동한 그리스의 서정시인.
에게 해의 케오스 섬에서 태어났다.
시인인 시모니데스의 조카이며 보이오티아의 시인인 핀다로스보다 약간 젊은 동시대인으로서, 에피니키온 시(주요운동경기 우승자들이 주문하는 송시) 분야에서 핀다로스와 경쟁을 벌였다. 바킬리데스의 작품은 이집트에서 발견된 파피루스 조각이 1896년에 영국의 영국박물관에 옮겨져 이듬해 출판되기까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전부 또는 일부 복원된 21편의 시 가운데 14편이 에피니키온 송시이고 나머지는 주신찬가(酒神讚歌:원래는 주신 디오니소스를 기리는 합창곡으로 아테네의 디오니소스 축제 때 합창경연대회의 주제가 된 노래)이다. 그밖의 단편들은 나중에 찾아낸 파피루스로 보완되었는데, 여기에는 '파이안'(아폴론을 비롯한 여러 신들을 기리는 찬가)과 '엔코미움'(유명 인사들을 기리는 찬가로 만찬이 끝난 뒤 여흥의 일부로 공연된 노래)이 포함되어 있다.
시라쿠사의 통치자인 히에론 1세가 BC 476년 올림픽 경기의 경마 좀목에서 우승한 것을 찬양하는 에피니키온 송시인 〈송시 5〉에는 확실한 연대가 적혀 있다. 이 시는 바킬리데스가 이 날짜 이전에 이미 히에론의 초대를 받고 시라쿠사를 방문했다는 것을 시사하며, 바킬리데스는 그후 히에론이 BC 470년 피티아 경마와 BC 468년의 올림픽 전차 경주에서 우승했을 때에도 〈송시 4〉와 〈송시 3〉을 써 그 승리를 축하했다. 이때문에 그는 핀다로스와 직접 경쟁하게 되었는데, 핀다로스도 히에론이 거둔 3차례의 승리 가운데 2번의 승리를 〈올림피아 1〉·〈피티아 1·2〉에서 찬양했다.
경쟁 시인들에 대한 핀다로스의 탐탁지 않은 언급은 아마도 바킬리데스와 시모니데스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바킬리데스의 문체는 핀다로스만큼 고상하지는 않지만 더 단순하며, 서술과 명쾌한 표현에서 뛰어난 솜씨를 보이고 있다. 바킬리데스는 시모니데스와 마찬가지로 아테네에서 열린 디오니소스 축제 때 주신 찬가를 썼는데, 특히 독특한 〈송시 18〉은 극시의 요소를 가진 송시로서 테네우스의 아버지인 아이게우스와 그에게 응답하는 합창단 사이의 대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문학 형식이 아테네 연극의 발전과 관계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문학사가들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가장 훌륭한 원문은 B. 스넬(제 8판, 1961)이 편집한 것이다. R. C. 제브가 쓴 해설서(1905)도 있으며, 로버트 페이글스는 바킬리데스의 시 전부를 영어로 번역하여 1961년에 출판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