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바이아

다른 표기 언어 Bahia
요약 테이블
위치 브라질 동부
인구 15,344,447명 (2017 추계)
면적 564,733.2㎢
대륙 남아메리카
국가 브라질

요약 브라질 동부에 있는 주. 북서쪽으로 피아우이 주, 북쪽으로 페르남부쿠 주, 북동쪽으로 알라고아스 및 세르지페 주, 동쪽으로 대서양, 남동쪽으로 에스피리투산투 주, 남쪽으로 미나스제라이스 주, 서쪽으로 토칸틴스 및 고이아스 주에 맞닿아 있다. 주도인 살바도르는 대서양 쪽의 작은 만을 굽어보는 전망 좋은 항구로서 한때 만을 뜻하는 바이아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살바도르(Salvador)

ⓒ gutolordello/Pixabay | Public Domain

북서쪽으로 피아우이 주, 북쪽으로 페르남부쿠 주, 북동쪽으로 알라고아스 및 세르지페 주, 동쪽으로 대서양, 남동쪽으로 에스피리투산투 주, 남쪽으로 미나스제라이스 주, 서쪽으로 토칸틴스 및 고이아스 주에 맞닿아 있다.

주도(州都)인 살바도르는 대서양 쪽의 작은 만을 굽어보는 전망 좋은 항구로서 한때 만(灣)을 뜻하는 바이아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주의 이름은 여기서 따온 것이다. 1501년 11월 1일 '모든 성인(聖人)의 날'에 포르투갈인 탐험대가 지금 살바도르가 자리잡은 만에 들어왔으며 이곳에 '모든 성인의 만'을 뜻하는 '바이아데토두스우스산투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어 1549년 포르투갈인이 부근지역을 점거했고 브라질의 첫번째 총독인 투메 데 소사의 지배 아래 4개의 사령관령을 합병하게 되었다. 투메 데 소자는 같은 해에 살바도르를 자신의 정부소재지로 세웠다. 처음으로 식민지 개척이 이루어진 곳은 해안지역인 레콘카부로, 사탕수수와 담배를 수출용으로 기르고 그밖의 농작물을 주식용으로 재배했다. 반건조지대인 내륙에서는 18세기에 소 사육이 크게 장려되었는데, 이때는 디아만티나 고원에서 발견된 금과 보석 광상 때문에 더 많은 거주자가 모여들기도 했다.

1822년 브라질 제국 성립이 선포되었을 때까지도 바이아는 포르투갈에 충성하는 세력에게 지배를 받고 있었다. 그러나 1823년 7월 2일 브라질 군대가 살바도르를 점령하면서 바이아는 브라질 제국의 군(郡)이 되었으며 공화국 체제로 넘어간 1889년에는 브라질 연방공화국의 주가 되었다.

최고 지점은 디아만티나 고원의 알마스 산(1,850m)이며 이 산등성이 아래쪽으로는 서부 및 동부 고원이 펼쳐져 있다. 고도 200~800m인 동서부 고원은 침식으로 생긴 섬산(山)이 특징이다. 동부 고원은 해안평야가 내려다보이는 높은 고지까지 뻗어 있다.

주요강인 상프란시스쿠 강은 미나스제라이스에서 발원하여 바이아 서부를 가로질러 북쪽으로 흐른 뒤 동부로 크게 곡류하여 바이아와 페르남부쿠 사이의 경계 및 바이아와 알라고아스 사이의 경계를 이루며 대서양으로 흘러든다. 2번째로 중요한 파라과수 강은 만티나 고원에서 발원해서 동쪽에 있는 '모든 성인의 만'으로 흘러간다. 건조한 강유역에서는 소를 사육하며 일부에서는 소규모로 농경도 하고 있다.

바이아의 해안지대에는 연강우량이 1,400㎜가 넘는 곳이 많다. 해안선을 따라서 브라질 코코넛 및 '만가베이라' 고무나무가 자라고 있으며 바다로 연결되는 강어귀에 형성된 진흙땅에는 홍수림(紅樹林)이 울창하다. 활엽의 열대림지역은 연강우량이 1,525㎜를 넘으며 가장 기온이 낮은 달의 평균기온이 18℃를 나타낸다. 이 지역의 모래질 진흙토양에서는 상록수 종류가 자란다. 서쪽 점이지대에는 관목 및 작은 식물 등의 낙엽성 식생이 있다.

바이아 주에서 60%에 이르는 지역은 브라질 지리학자들이 '한발(旱魃)의 다각형'이라고 부르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넓게 펼쳐진 이 한발지대(caatinga)는 우기가 불규칙하며 연강우량이 610㎜를 넘지 않는다. 대체로 수목이 없는 헐벗은 경관이며 선인장과 같은 식물이 많이 자란다. 삼림지대에는 페커리·맥(貘)·두발가락나무늘보 등이 살고 있다. 수목이 성긴 지역에서는 아르마딜로, 진홍의 따오기, 분홍빛 콘도르가 발견된다.

주민 가운데 물라토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나머지는 흑인과 백인 집단으로 각각 이루어져 있다. 인구밀도는 지역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여 사는 곳은 레콘카부를 중심으로 하는 북부 해안지역 도시들이다. 살바도르·이예우스·이타부나·페이라데산타나 및 비토리아다콘키스타 등이 주요도시이다. 이에 비해 건조한 내륙지역은 인구가 희박하며 도시가 거의 없다. 전체 주민 가운데 절반 이상이 도시지역에 산다. 공용어는 포르투갈어이지만 아프리카 방언과 여러 종류의 인디언 방언도 약간 뒤섞여 있다. 주민의 절대 다수는 로마 가톨릭 신자이지만 개신교·강신술(降神術) 등을 믿는 사람도 소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가톨릭과 토착신앙의 통합종교 성격을 띤 칸돔블레(candomblé) 종교예식을 행하면서 스스로 로마 가톨릭교도라고 자처한다.

평균 생활수준은 낮다. 의료시설 및 위생설비를 증진하고 학교교육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도시지역도 위생이 불완전하며 문맹률도 높은 상태이다. 살바도르에는 연방대학교와 살바도르가톨릭대학교가 있다. 주요광물자원으로는 천연 가스 및 석유·납·구리·크롬·주석·중정석·망간·마그네사이트·티타늄·적철광·석영·고령토·대리석·석면·자수정 등이 손꼽힌다. 상프란시스쿠 강에서 가장 큰 낙차지점에 파울루아폰수 댐이 설치되어 수력발전도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농작물은 카카오·담배·식물성기름·피아사바·사이잘삼 등이다. 삼림에서 목재를 채취하며 소를 길러 가죽과 생가죽을 생산한다. 중공업은 란둘푸알베스 원유정제소, 시멘트 공장, 제철소 같은 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업 중심지는 살바도르·페이라데산타나·아라투 등이다. 에너지는 대개 파울루아폰수 댐을 비롯한 수력발전으로 충당된다. 도로 및 철도 대부분이 레콘카부 지역을 지난다. 문화기관으로는 바이아 문학 아카데미, 바이아 지리 및 역사연구소, 바이아 음악학원 등이 유명하다.

지도
바이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바이아


[Daum백과] 바이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