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바다가재류

다른 표기 언어 lobster

요약 바다가재류는 모두 바다 밑바닥에 살며, 죽은 동물뿐 아니라 살아 있는 물고기·작은 연체동물·무척추동물·해조 등을 먹는다. 단단하고 체절화된 외골격과 5쌍의 다리가 있다. 다리 중 1쌍이나 여러 쌍이 집게발로 되어 있는데, 집게는 대개 한쪽이 다른 쪽보다 크다.
가시발새우과와 닭새우과의 몇 종은 상업적으로 중요하다. 가시발새우과는 3쌍의 앞다리 가운데 맨 앞다리에 있는 집게가 가장 크다. 호마루스 아메리카누스와 네프롭스 노르베기쿠스가 가장 값어치가 있다. 주로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는 복부와 집게발을 먹는다. 닭새우과는 큰 집게발이 없으며, 보통 복부만 먹는다. 대부분이 열대 바다에 산다. 주로 열대에 사는 매미새우과는 몸이 납작하고 집게발이 없으며, 길이가 짧고 몸이 작아 상업적인 가치가 거의 없다.

바다가재류

ⓒ Alexander Rath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모두 바다 밑바닥에 살며 대부분 밤에 활동한다.

죽은 동물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물고기, 작은 연체동물, 밑바닥에 사는 그밖의 무척추동물, 해조(海藻) 등을 먹는다. 특히 가시발새우과와 닭새우과의 몇 종은 상업적으로 중요하다. 단단하고 체절화된 외골격(外骨格)과 5쌍의 다리가 있다. 다리 중 1쌍 또는 여러 쌍이 집게발로 변형되어 있는데, 집게발의 집게는 대개 한쪽이 다른 쪽보다 크다. 눈은 움직일 수 있는 자루 위에 있고, 긴 더듬이가 2쌍 있다. 가늘고 긴 복부에는 유영지(遊泳肢) 여러 쌍이 있고, 물갈퀴 모양의 꼬리는 수영할 때 쓰는데, 꼬리와 복부를 휘면서 뒤로 나간다.

가시발새우과 동물의 앞 3쌍의 다리에는 집게가 있는데, 그 가운데 맨 앞다리에 있는 것이 가장 크다.

머리와 가슴을 덮고 있는 배갑(carapace)에는 액각(rostrum)이 뚜렷하다. 호마루스 아메리카누스와 네프롭스 노르베기쿠스가 가장 값어치 있으며, 산 채로 시장에서 팔기도 한다. 주로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는 복부와 집게발을 먹으며, 극해(極海)와 아주 깊은 곳만 빼고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다. 호마루스 감마루스는 짙은 녹색을 띠며 유럽의 대서양 연안과 지중해의 암석이 많은 바닥에 산다.

남아프리카 주변 바다에 사는 호마루스 카펜시스는 10~13㎝ 정도 자라며 상업적 가치는 거의 없다. 래브라도로부터 노스캐롤라이나에 이르는 바다에 살고 있는 호마루스 아메리카누스는 얕은 물에서도 살지만, 대개는 360여m에 이르는 깊은 물 속에서 산다.

얕은 바다에서 잡히는 것은 무게가 0.45㎏에 길이는 25㎝ 정도이다. 보통 죽은 물고기를 미끼로 하여 통발로 잡는다. 깊은 바다에서 잡히는 것은 무게가 약 2.5㎏ 나가며 대개 저인망으로 잡는다. 예외적으로 큰 것은 무게가 20㎏이나 된다. 대개 시장에서 산 채로 팔린다. 등은 보통 거무스름한 녹색 또는 갈색을 띤 녹색이며, 배쪽은 노란빛이 도는 오렌지색, 붉은색 또는 푸른색이다. 뜨거운 물에 담그면 몸 전체가 붉은색으로 변한다.

암컷은 5세쯤 되면 알을 낳기 시작하는데, 여름에 수컷으로부터 정자가 암컷에게 전달되지만 봄까지는 수정이 일어나지 않는다. 암컷은 3,000개 또는 그 이상의 알을 낳는데, 알들은 몇 개월 뒤 부화될 때까지 어미의 유영지에 부착되어 있다. 1㎝쯤 되는 어린것은 성체와 달리 약 12일간 자유롭게 헤엄친 뒤 바닥으로 내려가 거기에서 지낸다. 어떤 것은 50년이나 산다.

어린것들은 돔발상어류나 홍어·대서양대구 등의 먹이가 되며, 성체는 주로 사람이 먹는다. 가시발새우과와 달리 닭새우과 동물은 큰 집게발이 없다. 보통 복부만 먹는데 바다가재꼬리(lobster tail)라고 하여 시장에서 판다. 더듬이는 튼튼하게 발달해 있다. 대부분이 열대 바다에 살지만, 팔리누루스 엘레파스(Palinurus elephas)는 영국에서부터 지중해에 걸쳐 산다.

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는 팔리누루스 인테르룹투스(P. interruptus)와 버뮤다에서 브라질에 걸쳐 사는 팔리누루스 아르구스(P. argus)는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중요하다.

몸길이는 팔리누루스 인테르룹투스가 40㎝, 팔리누루스 아르구스는 45㎝에 이른다. 상업적 가치가 있는 야수스 랄란데이는 남아프리카 주변 바다에 산다. 주로 열대에 사는 매미새우과 동물은 몸이 꽤 납작하고 집게발이 없으며, 더듬이는 넓은 판 모양이다. 대부분의 종은 길이가 짧고 몸이 작으며, 경제적인 가치가 거의 없다. 폴리켈리다이과에 속하는 것들은 몸이 무르고 약하며 집게발을 가지고 있는데, 상업적 가치는 없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류

조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바다가재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