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화학에서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처음에는 특정한 조건에서 분자량이 차지하는 부피가 같을 때의 단위로 정의되었으나, 이후 탄소원자의 수를 표준으로 삼았고, 2018년 11월에는 기본 단위의 정의에 기본 상수를 활용하기로 하는 원칙에 따라 아보가드로 상수로 정의하는 안이 채택되어 재정의되었다. 이 정의는 세계 측정의 날인 2019년 5월 20일부터 시행되었다.
물질의 분자량과 같은 양의 질량(g) 또는 기체상태인 물질이 특정조건에서 분자량이 차지하는 부피와 같을 때 1mol로 정의되었다. 예를 들어 산소의 분자량은 31.9988이므로 산소 1mol은 31.9988g이다. 이때 분자량은 분자를 구성하는 모든 원자의 원자량을 합한 양으로 임의의 물질의 분자량이 M일 경우 그 물질의 Mg(1mol)을 그램 분자량 또는 그램 분자라 한다. 1mol 중의 분자수는 모든 분자가 동일한 값을 가지며, 근사적으로 6.0221367×1023(→ 아보가드로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탄소의 주동위원소인 탄소-12(12C)를 각 원소의 원자량을 정하는 데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몰의 SI 정의는 정확히 12g의 탄소원자 속에 들어 있는 탄소원자의 수와 똑같은 수의 화학단위물질(원자·분자 또는 특정입자)이 모여 있는 물질의 양으로 정의되었다(→ 아보가드로수). 2018년 11월 16일 프랑스 베르사유에서 개최된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기본 단위의 정의에 기본 상수를 활용하기로 하고, 몰에 대해서는 아보가드로 상수(NA)로 정의하는 안이 제안되었으며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 이날 개정된 단위의 정의는 세계 측정의 날인 2019년 5월 20일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화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