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러시아의 유명한 자연주의 극단.
(영). Moscow Academic Art Theatre/Moscow Art Theatre(~1939). Moscovsky Khudozhestvenny Teatr(MKHAT)라고도 함.
1898년 2명의 연극 선생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와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 단첸코가 설립했다(→ 스타니슬라프스키, 네미로비치 단첸코). 이 극단의 목적은 연극에 색다른 방법으로 접근하여 새로운 연극 예술양식을 만드는 것이었다.
유사한 연극적 경험과 관심을 공유했던 이 두 사람이 만나 스타니슬라프스키가 연극 연출에 대한 절대적인 권한을 갖는 한편 네미로비치 단첸코는 문학작품과 경영을 맡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초기 단원들은 예술·문학회와 스타니슬라프스키와 네미로비치 단첸코가 가르쳤던 모스크바 필하모닉 음악협회에서 연극강의를 들었던 아마추어 배우들로 이루어졌다. 스타니슬라프스키는 독일의 마이닝겐 극단의 영향을 받아 배우들이 어떤 역을 맡거나 어떤 상황에 있든지 사실적으로 연기할 수 있도록 연기훈련체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스타니슬라브스키 방식).
70여 차례의 연습을 거친 뒤 모스크바 예술극단은 1898년 10월 알렉세이 톨스토이의 〈표도르 요안노비치 황제 Czar Fyodor Ioannovich〉를 무대에 올림으로써 문을 열었다. 5번째로 공연한 작품은 첫 공연에서 실패한 체호프의 〈갈매기 The Seagull〉였다. 〈갈매기〉의 재공연으로 모스크바 예술극단은 처음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가장 유명한 극작가 중 한 사람인 체호프와 오랜 예술적 관계를 맺게 되었다. 체호프의 예술적 사실주의가 극단의 미적 정서에 부합된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모스크바 예술극단은 〈갈매기〉를 비롯한 체호프의 모든 희곡에서 체호프가 가지고 있는 사상의 심층적 의미를 강조했다. 모스크바 예술극단은 예술적으로 새로운 경향을 지닌 모든 작품의 공연을 시도했다. 특히 고리키, 안드레예프, 톨스토이, 메테를링크, 하우프트만 등의 작품들을 공연했으며, 풍자극·공상극·희극뿐만 아니라 정치적·사회적으로 중요성을 띤 작품들도 공연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이 극단은 레닌과 소련의 초대 교육인민위원인 루나차르스키로부터 절대적인 지원을 받았으며, 1922년 유럽과 미국 순회공연 때에는 가는 곳마다 비평가들의 절찬을 받았다. 1924년 모스크바로 돌아와 1941년 독일군의 침공으로 그곳을 떠날 때까지 계속 소련의 새로운 희곡들과 러시아 고전작품들을 공연했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의 2차례 런던 순회공연을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세계 연극계에서 다시 예전의 명성을 되찾았다.
모스크바 예술극단은 전세계의 극단들에게 엄청난 영향을 미쳤으며, 바흐탄고프 극단, 리얼리스틱 극단, 하비마 극단, 네미로비치 단첸코의 뮤지컬 스튜디오 등 많은 실험극단의 탄생을 촉진시켰다. 오늘날 거의 모든 전문적 연기 훈련은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의 방법론을 적어도 1~2가지 측면에서 빌려 쓰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연극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