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945년 12월 16~25일 모스크바에서 미국·영국·소련의 3개국이 제2차 세계대전의 전후 문제 처리를 위해 소집한 외상회의.
한국 문제에 대해서는 4개국 대표에 의한 신탁통치를 기본 취지로 하는 미국측의 제안과 민주주의적 임시정부 수립을 기본 취지로 하는 소련측의 수정안이 토론되었다. 회의 결과 12월 28일 영국의 동의로 협정이 체결되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발표되었다.
첫째, 한국을 독립국가로 재건설하며, 민주주의적 원칙하에 발전시키고, 일본 통치의 잔해를 빨리 청산할 조건들을 조성할 목적으로 민주주의 임시정부(a provisional democratic government)를 수립한다. 둘째, 연합국이 한국 임시정부의 수립을 원조·협력할 방안의 작성은 민주주의적 정당·사회단체들과의 협의를 통해 미소공동위원회가 수행한다. 셋째, 5년 이내를 기한으로 하는 4대 강국에 의한 신탁통치의 협정은 한국 임시정부와의 협의를 거쳐 4개국이 심의한 후 제출한다.
이 협정내용에 대해 충칭[重慶] 임시정부의 추대를 주장하던 한국독립당·한국민주당 등의 우익세력은 임시정부수립을 위한 국제적 원조방안으로 선전하면서 신탁반대운동을 전개했다. 반면에 여운형의 조선인민당, 박헌영의 조선공산당 등은 3상회의의 결의를 한국의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국제적 합의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좌우익의 대립에 미국·소련의 대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소공동위원회를 통한 통일임시정부의 수립이라는 3상회의의 결정사항은 실현되지 못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국제회의/회담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