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48년 |
---|---|
유형 | 사립 종합대학 |
설립자 | 유상근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거북골로 34(인문캠퍼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116(자연캠퍼스) |
사이트 | http://www.mju.ac.kr |
요약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4년제 사립 종합대학. 1948년에 설립한 서울고등가정학교를 모태로 1963년 명지대학으로 개편했다. 교파를 초월한 순수 복음주의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사랑·진리·봉사'가 교육 이념이다. 인문캠퍼스는 서울시 서대문구 남가좌동에 있으며, 자연캠퍼스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동에 소재한다.
개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학교법인 명지학원 소속의 기독교계 종합대학. 1948년 설립된 서울고등가정학교를 기원으로 하며, 1952년 근화여자초급대학, 1955년 서울여자초급대학을 거쳐 1956년 2년제 남녀공학 서울문리사범대학을 설립했다. 1963년 교명을 4년제 명지대학으로 변경했고, 1983년 종합대학교로 승격했다. 교명 ‘명지’는 ‘지식과 지혜를 밝혀 가르친다’라는 뜻이다.
설립 이념
명지대학교는 하나님을 믿고 부모님께 효성하며 사람을 내 몸같이 사랑하고 자연을 애호개발하는 기독교의 깊은 진리로 학생들을 교육하여, 민족문화와 국민경제발전에 공헌케 하며, 나아가 세계평화와 인류문화발전에 기여하는 성실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설립 목적이자 설립 정신으로 삼고 있다.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학술의 심오한 이론과 그 올바른 활용방법을 연구 교수하며 국가발전과 민족문화 창달을 통하여 인류사회의 평화와 발전에 기여하고 봉사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 목적으로 한다.
연혁 및 변천
1948년 7월 재단법인 무궁학원이 설립한 서울고등가정학교가 명지대학교의 출발이다. 이후 1962년 2월 서울문리실과대학으로 개편되었고, 1963년 12월 교명을 명지초급대학으로 변경했다. 1963년 12월 4년제 명지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64년 1월 재단법인 명지학원을 학교법인 명지학원으로 개편했다. 1979년 용인에 캠퍼스를 착공하고, 1983년 3월 대학본부를 용인캠퍼스로 옮겼다.
1983년 9월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고, 1989년 계열별 이원화 인가를 받아 용인캠퍼스는 이과대학·공과대학·예체능대학, 서울캠퍼스는 인문대학·법정대학·경상대학으로 분리했다. 2002년 3월 용인캠퍼스는 자연캠퍼스로, 서울캠퍼스는 인문캠퍼스로 캠퍼스 명칭을 바꾸었다. 2008년 개교 60주년을 맞이하여 <사랑과 창조의 글로벌 리더>를 선포했다. 2016년에는 인재상, 비전, 슬로건, 발전목표 등을 수립하고 교육, 연구·산학, 국제화, 대학경영, 브랜드 분야에서의 추진전략 등을 수립했다. 2019년 한국대학평가원이 주관하는 대학기관평가인증을 획득했다. 2020년 3월 한국어교육업무 담당 기구를 신설했다. 2023년 11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공공기관을 비롯한 국내 산업 전반의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대학 조직
2025년 기준 인문캠퍼스에는 인문대학·사회과학대학·경영대학·법과대학·ICT융합대학·미래융합대학·방목기초교육대학이 있다. 자연캠퍼스에는 자연과학대학·공과대학·예술체육대학·건축대학·국제학부·ICT융합대학·방목기초교육대학 등이 있다. 대학원으로는 일반대학원 외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과 통합치료대학원, 산업대학원, 교육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문화예술대학원, 부동산대학원, 경영대학원이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도서관·전산정보원·박물관·명지미디어센터·보건의료센터·생활관·체육부 등이 있다. 연구소로 교책중점연구소·대학부설연구소 등이 있다.
현황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의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거북골로 34이고, 자연캠퍼스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116에 있다. 명지대학교 외 학교법인 명지학원이 운영하는 교육기관으로는 명지전문대학·명지고등학교·명지중학교·명지초등학교·명지전문대학부속 명지유치원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