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명원파의 화조화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중국 명(明 : 1368~1644)나라가 원(元)을 이어 들어선 뒤 화원이 설치되기 이전에 궁중에 모아들인 일단의 화가들.

명원파의 회화예술은 화조화에서 가장 큰 성과를 이뤘다.

변경소·손융(孫隆)·임량(林良)·여기는 그 대표적인 화가이다.

변경소의 〈죽학도 竹鶴圖〉 같은 작품은 그 솜씨가 심오하여 은은하면서도 대범한 기품이 배어나오며 정교하고 화려하다. 이는 송대의 원체화를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손융은 〈화조초충도 花鳥草蟲圖〉 등에서 몰골법과 함께 다양한 채색기법을 사용하여 수묵이 윤택하고 생기가 가득한, 그야말로 어느 누구도 본뜨지 않은 자기만의 독특한 예술세계를 창조했다.

임량은 붓을 휘둘러 새·짐승·수목을 단숨에 그려냈는데 그 힘찬 기세가 마치 초서를 보는 듯하다. 그의 〈웅응도 雄鷹圖〉 등을 보면 그 변화무쌍함과 굳센 기상이 강하게 느껴진다. 당시 초서식 기법으로 이름을 떨친 화가는 하창·임량·계례·악정의 4명이 있으나 그중 임량이 가장 뛰어난 화가로 꼽힌다. 여기는 임량에 비해 조금 늦은 시기의 화가로서 그 성취가 훨씬 뛰어났다.

〈계국산금 桂菊山禽〉·〈행화공작 杏花孔雀〉·〈잔하응로 殘荷鷹鷺〉·〈설매서조 雪梅棲鳥〉 등의 그림은 때로는 정교한 묘사와 채색이 돋보이는가 하면 때로는 붓에 먹을 듬뿍 찍어 그린 활달함이 두드러지고 원체화의 윤곽선을 그대로 이어받은 데다가 정교한 묘사까지 갖추고 있다. 따라서 임량의 경지를 뛰어넘은 새로운 발전의 면모를 보여준다.→ 명대 미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미술

미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명원파의 화조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