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멘델레 모이헤르 스포림

다른 표기 언어 Mendele Moykher Sforim 동의어 멘델 모케르 세포림, Mendele Mokher Seforim, Shalom Jacob Abramowitsch
요약 테이블
출생 1835. 11. 20, 러시아 민스크 근처 코필
사망 1917. 12. 8, (지금의 우크라이나) 오데사
국적 러시아

요약 유대인 작가.
Mendele Mokher Seforim이라고도 함. 본명은 Shalom Jacob Abramowitsch.

현대 이디시 설화문학과 히브리 설화문학을 창시했고 현대 이디시어 문어를 만들었다. 1879년 '뜨내기 책장수 멘델레'라는 뜻을 가진 필명을 쓰기 시작했다.

히브리어로 나온 최초의 주간지 〈하 마기드 haMaggid〉(1856) 창간호에 유대인의 교육개혁을 다룬 첫번째 논문을 실었다. 1858~69년은 우크라이나 베르디체프에 살면서 히브리어와 이디시어로 소설을 펴내기 시작했다. 히브리어로는 단편소설(1863)과 대표적 소설 〈아버지와 아들 ha-Avot ve-ha-vanim〉(1868)을 썼으며, 그의 제안으로 창간된 이디시 정기간행물 〈코일 메바세르 Koyl Mevasser〉에 첫번째 이디시 소설 〈작은 사람 Dos klein mentshele〉을 실었다. 또한 H. O. 렌츠가 쓴 〈이로운 박물학 Gemeinnützige Naturgeschichte〉(3권, 1862~72)을 히브리어로 개작했다.

성서를 거의 그대로 따라 딱딱한 느낌을 주는 그 시대의 히브리 문학 양식을 싫어한 그는 한동안 이디시어만 사용해 주로 사회풍자소설과 희곡을 썼다. 가장 뛰어난 작품인 〈베냐민 3세의 여행과 모험 Kitsur massous Binyomin hashlishi〉(1875)은 러시아에 사는 유대인의 삶을 펼쳐 그린 것이다.

1869~81년에 지토미르에서 랍비 교육을 받은 뒤 오데사에서 유대인 전통학교인 탈무드토라의 교장이 되었고, 새로 일어나기 시작한 문학운동의 선구자로서 '멘델레 할아버지'라고 불렸다. 1886년에는 다시 히브리어로 소설을 써 최초의 히브리 일간지 〈하 욤 ha-Yom〉에 실었으나, 그때까지의 모든 히브리 문학의 특징을 섞은 새로운 문체를 사용했다.

이디시어로도 계속 작품을 쓰면서 그전에 썼던 이디시어 작품을 하나씩 히브리어로 다시 썼다. 그의 소설은 생생한 유머와 점잖은 풍자가 담겨 있으며, 전통적 사회구조가 무너져가던 시대에 살던 동부 유럽 유대인들의 생활이 묘사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멘델레 모이헤르 스포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