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08. 12. 10, 프랑스 아비뇽 |
---|---|
사망 | 1992. 4. 28, 파리 |
국적 | 프랑스 |
요약
메시앙은 독창적인 음악세계와 급진적이고 실험적인 작곡 기법으로 후대 음악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자신의 신앙에 따라 많은 가톨릭 음악을 작곡했다.
17세부터 작곡을 시작해 1931년 〈오프랑드 우블리에〉와 <주님의 탄생>을 통해 이름을 알렸다. 또한 같은 해 파리 트리니테 성당 오르간 연주자로 임명되었다. 2차 대전에 참전했다 독일군에 포로가 되었으나, 수용소에서 〈종말을 위한 4중주〉를 작곡했다. 1942년 본국으로 송환되어 성당 오르간 연주자로 복직되었고, 파리 음악원의 교수가 되어 피에르 불레즈 등의 뛰어난 제자들을 배출했다.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아멘의 환영〉등 수많은 종교 음악을 썼으며, <새들의 눈뜸>에서는 새의 노랫소리를 작품에 채택하는 등의 실험적인 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독창적인 음악세계로 영향력이 크다. 메시앙은 영문학자인 피에르 메시앙과 시인인 세실 소바주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레노블과 낭트에서 성장해 17세부터 작곡을 하기 시작했고 독학으로 피아노를 배웠다. 11세에 파리 음악원에 입학해 뛰어난 오르간 연주자였던 마르셀 뒤프레와 작곡가 폴 뒤카스에게 배웠다. 음악원에서 공부했던 마지막 기간 동안 동·서양의 리듬, 새소리, 미분음 음악 등 폭넓은 분야에 걸쳐 개인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1931년 파리의 트리니테 성당 오르간 연주자로 임명되었다.
〈오프랑드 우블리에 Offrandes oubliées〉(1931)와 〈주님의 탄생 Nativité du Seigneur〉(1938)으로 작곡가로서의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1936년 작곡가 앙드레 졸리베, 다니엘 레주르, 이브 보드리에르와 함께 '젊은 프랑스'(La Jeune France) 그룹을 창설해 새로운 프랑스 음악을 추구했다. 1936년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1939년까지 스콜라 칸토룸(Schola Cantorum)과 에콜 노르말 드 뮈지크(École Normale de Musique)에서 후진들을 지도했다.
전쟁에 참전한 그는 포로가 되어 괴를리츠 수용소에 수용되었으나 〈종말을 위한 4중주 Quatuor pour la fin du temps〉를 작곡해 1941년 수용소 안에서 연주했다. 1942년 본국으로 송환되어 트리니테 성당의 오르간 연주자로 복직되었고 파리 음악원에서 가르쳤다. 제자 가운데는 20세기 음악의 중요한 인물인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과 피에르 불레즈가 있다.
주로 가톨릭 신학에서 영감을 얻은 그는 준신비주의적 양식으로 작곡했다. 그러한 작품들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여성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하느님 현존의 3가지 소전례 Trois Petites Liturgies de la présence divine〉(1944), 피아노를 위한 〈아기 예수를 바라보는 20개의 눈매 Vingt Regards sur l'Enfant Jésus〉(1944),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아멘의 환영 Visions de l'amen〉(1943)과〈영원한 교회의 환영 Apparition de l'église éternelle〉(1932), 오르간을 위한 〈성령 강림절을 위한 미사 Messe de la Pentecôte〉(1950), 관현악과 합창을 위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변용 La Transfiguration de Notre Seigneur Jésus-Christ〉(1969) 등이 있다.
가장 중요한 관현악곡으로는 10개의 악장으로 된 〈튀랑갈릴라 교향곡 Turangalîla-Symphonie〉(1948), 18대의 독주 현악기, 목관악기, 타악기를 위한 〈크로노크로미 Chronochromie〉(1960)가 있다. 〈튀랑갈릴라 교향곡〉에는 피아노 독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가믈란(동남아시아의 타악기 오케스트라)식으로 사용된 타악기가 전자악기인 옹드마르트노(Ondes Martenot)와 어울려 연주하도록 되어 있다. 〈새의 눈뜸 Le Réveil des oiseaux〉(1953)·〈이국의 새 Oiseaux exotiques〉(1956)·〈새들의 카탈로그 Catalogue d'oiseaux〉(1959)는 새들의 노랫소리를 정확하게 채보해 작품 속에 결합한 것이다. 그의 작곡 기법은 저서 〈나의 음악어법 Technique de mon langage musical〉(1944)에 나타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음악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