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판소리의 메나리목과 함경도, 경상도 서북부를 제외한 함경도·경상도 지방과 강원도 지방의 민요나 무가에 두루 쓰이는 가락형 및 선법적 특징.
메나리토리라고도 한다. '메나리'라는 말은 강원도·경상도에서 김매기할 때 부르는 노래 이름인데, 메나리조라는 명칭은 바로 이 노래의 이름에서 따온 말이다. 즉 메나리라는 노래와 같은 음악어법으로 된 민요를 메나리조 민요라고 부른다.
이 민요가 불리는 지역을 메나리토리권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노동요로 〈정자〉·〈메나리〉·〈산유화가〉·〈어산요〉·〈아라리〉·〈목도소리〉·〈노 젓는 소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메나리조 노래들은 구성음이 '미·솔·라·도·레'의 5음 음계로 되어 있고 주요음은 '미·라·도'이다. '미'에서 작게 떨고, '레'에서 '도'로 흘러내리며 '미'와 '라'로 끝난다. 메나리조가 사용되는 판소리 대목으로는 강산제 〈심청가〉 중 심봉사가 황성 맹인잔치에 가며 부르는 길소리와 심청 어머니의 상여가 나가는 대목의 상여소리 등이며, 그밖의 민요 가운데 〈쾌지나칭칭나네〉·〈강원도아리랑〉·〈정선아리랑〉·〈한오백년〉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한국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