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경상도, 강원도, 충청도 동부지방에서 전승되는 노동요.
김매기노래로 〈미나리〉라고도 한다. 곡명의 유래에 대해서는 옛 문헌에 나오는 노래 〈산유화 山有花〉를 풀어서 '뫼놀이'라고 한 것이 〈메나리〉가 되었다는 말이 있다. 노랫말은 지역에 따라서 다양하다. 대표적인 노랫말을 보면 경상북도의 〈메나리〉는 "사래 길고 오호호호 장찬논에/어느님 마주심어줄 우후후후"로 시작된다. 선율은 서양음계의 '미·솔·라·도·레'로 되어 있고 '미·라·도' 3음이 주요음이다. 미는 작게 떨고 레는 도로 흘러내리며 부른다. 이러한 선율적 특징이 있는 강원도·경상도 민요를 메나리조 민요라고 부른다.→ 메나리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한국음악
한국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