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95. 10. 19, 미국 뉴욕 플러싱 |
---|---|
사망 | 1990. 1. 26, 뉴욕 아메니아 |
국적 | 미국 |
요약 미국의 사회학자·저술가·교사.
건축과 도시계획에 관한 글을 통해 역사적으로 과학기술과 도시화가 인간사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냈다.
뉴욕시립대학과 서스타인 베블런이 재직중이던 사회연구학교에서 공부했다. 1919년 〈다이얼 Dial〉지의 편집자가 되었으며 여러 주요 정기간행물에 문학비평을 썼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청년작가들의 작품을 실은 〈아메리칸 캐러밴 The American Caravan〉이라는 연감의 공동편집자로 일하기도 했다(1927~36). 정기간행물과 저서에 실린 초기 글들은 주로 건축과 도시계획 분야를 주제로 삼았지만 멈퍼드의 글은 항상 더 넓은 분야를 포괄했다.
〈The Story of Utopia〉(1922)·〈Sticks and Stones〉(1924)·〈The Golden Day〉(1926, 재판 1934, 1957)·〈The Brown Decades : A Study of the Arts in America, 1865~1895〉(1931)는 미국의 문학·예술·건축에 관한 저서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공동체적 활동을 주제로 삼고 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상(賞)을 받은 〈기술과 문명 Technics and Civilization〉(1934)·〈도시 문화 Culture of Cities〉(1938)·〈행위하는 인간 Men Must Act〉(1939) 같은 책에서는 기술사회가 개인의 발전 및 지역문화의 전망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멈퍼드의 주요저서인 〈역사 속의 도시 The City in History〉(1961)는 인류문명에서 도시가 해온 역할을 역사 전반에 걸쳐 개괄한 연구서이다.
멈퍼드는 스탠퍼드대학교 인문학부 교수(1942~44),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도시 및 지역계획학 교수(1951~59),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객원교수(1957~60, 1973~75),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교수(1961~62), 감리교대학교 고등학문연구소의 선임연구원(1963~64) 등 여러 곳에서 교수 및 연구원으로 꾸준히 활동했다. 대영제국 기사작위를 받았으며, 저서 〈역사 속의 도시〉로 전국도서상과 미국 자유훈장을 수상했다.
한편 2권으로 된 〈기계의 신화 The Myth of the Machine〉(1967~70)는 인류발전에 과학기술이 담당해온 역할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입장에서 재평가한 것이다. 〈나의 학문과 생애 : 개인적 연대기 My Work and Days : A Personal Chronicle〉(1979)·〈삶에 대한 소묘 : 루이스 멈퍼드 자서전 Sketches from Life : the Autobiography of Lewis Mumford, the Early Years〉(1982) 등 자전적 저서도 썼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