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매클린턱

다른 표기 언어 Barbara McClintock
요약 테이블
출생 1902. 6. 16, 미국 코네티컷 하트퍼드
사망 1992. 9. 2, 뉴욕 허닝턴
국적 미국

요약 미국의 유전학자.

매클린턱(Barbara McClintock)

ⓒ Adam Cuerden/wikipedia | Public Domain

1940~50년대에 이동성유전인자(mobile genetic elements)를 발견했으며 이 공로로 198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뉴욕 이타커의 코넬대학교에서 식물유전학을 연구해 1927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워싱턴 D. C. 카네기 연구소에서 일하기 전까지 수년간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뉴욕에 있는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에서 50년 이상 일했다. 그녀는 옥수수 종자의 색변이를 관찰·실험하던 중 유전정보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해 다닌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유전물질로부터 2가지의 조절인자(control element)를 분리했고, 이 조절인자들이 위치를 이동할 뿐만 아니라 변화된 위치에서 주변의 유전자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 이들 이동성 유전인자에 의해 발생과정에서 세포가 여러 종류로 분화한다고 주장했다.

그녀의 연구결과는 수년이 지나도록 관심을 끌지 못했으나, 현재는 유전자의 기능·구성의 많은 것을 밝히는 중요한 기초가 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에블린 E. 켈러가 쓴 매클린턱의 전기 〈생명체에 대한 느낌 A Feeling for the Organism〉이 1983년에 출판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과학자

과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매클린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