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만인의총

다른 표기 언어 萬人義塚 동의어 사적 제272호

요약 사적 제272호.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위치하고 있다. 1597년(선조 30) 침투한 일본군은 사천으로부터 하동을 거쳐 구례로 들어오고, 그 일부는 함양을 거쳐 운봉으로 들어와 남원을 공격할 태세를 갖추었다.
당시 조선·명 연합군도 남원을 교통의 요충지로 여겨 전라병사 이복남, 오응정, 김경로, 신호, 임현 등이 군사 1,000여 명과 명나라 군사와 함께 방어하고 있었다.
1597년 8월 이들이 일본군에 맞서 싸웠으나 성을 방어하던 병사와 주민들 1만여 명이 전사했다. 난이 끝난 뒤 시신을 합장했고, 1612년(광해군 4) 충렬사를 세워 8충신을 제향했다. 1964년 현 위치로 이전하여, 1971년에 정화작업을 시작하여 1979년 완공했다.

사적 제272호.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위치하고 있다.

만인의총

만인의총, 사적 제272호, 전북 남원시 향교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597년(선조 30) 화의의 결렬로 재침한 일본군은 호남·호서 지역을 점령한 뒤 북상할 계획을 세웠다. 같은 해 7월 28일부터 우키다 히데이에[宇喜多秀家]를 대장으로 한 1대(隊) 5만 병력은 사천으로부터 하동을 거쳐 구례로 들어오고, 그 일부는 함양을 거쳐 운봉으로 들어와 남원을 공격할 태세를 갖추었다.

당시 조선·명 연합군도 남원을 경상도·전라도·충청도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 여겨 전라병사 이복남(李福男), 방어사 오응정, 조방장 김경로(金敬老), 별장 신호, 남원부사 임현의 군사 1,000여 명과 명나라 부총병 양원의 군사 3,000여 명이 함께 방어하고 있었다. 8월 13일 일본의 주력군이 남원성을 포위하자, 동문은 양원, 서문은 모승선, 남문은 장표, 북문은 이복남이 지켰다. 14~15일 군관민이 합심하여 싸웠으나, 16일에 중과부적으로 함락되고 말았다.

성이 함락되기 직전 양원은 50기(騎)를 이끌고 탈출했으나, 접반사 정기원·이복남·오응정·김경로·신호·임현, 통판 이덕회(李德懷), 구례현감 이원춘(李元春)·진안현감 마응방과 명군 이신방(李新芳)·장표·모승선 등은 모두 전사했다. 또한 성을 방어하던 병사와 주민들 1만여 명이 전사했다. 난이 끝난 뒤 시신을 합장했고, 1612년(광해군 4) 충렬사를 세워 8충신을 제향했다. 1964년 현 위치로 이전하여, 1971년에 정화작업을 시작하여 1979년 완공했다.→ 남원성전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만인의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