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만불산

다른 표기 언어 萬佛山

요약 8세기 중엽에 신라의 기술자들이 만든 모형산.

〈삼국유사〉 탑상(塔像) 제4에 소개되어 있다. 경덕왕이 당나라 대종(代宗)이 불교를 숭상한다는 말을 듣고 공장에게 명하여 선물을 만들게 했는데 바닥에 5색 융단을 깔아 조각을 한 침단목(沈檀木)과 옥으로 꾸민 1장(丈) 남짓한 산의 모형을 올려놓은 것이었다.

산은 기암괴석의 동굴로 구역을 나누었고, 구역마다 가무기악(歌舞伎樂)과 여러 나라의 산천 형상이 있어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벌과 나비가 날고 제비와 참새가 춤을 추는데 얼핏 보면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구분할 수 없었다. 그 가운데 만불을 안치했는데 크고 작은 것이 함께 있어 머리가 어떤 것은 수수크기만하고 또는 콩 반쪽만하며, 상투·흰털과 미목(眉目)이 서로 알맞게 갖추어져 있어 만불산이라 했다. 또 금과 옥을 새겨 온갖 화초와 수목, 물줄기, 암자 등과 누각, 전당(殿堂)도 만들었는데 비록 규모는 작으나 살아 움직이는 듯했다.

앞쪽에는 1,000여 개의 중 모습을 한 인형들이 있고 아래에는 3개의 자금종(紫金鐘)에 각각 종각(鐘閣)과 포뢰(蒲牢)가 있으며, 경어(鯨魚)로 종치는 막대를 삼았다. 바람이 불어 종이 울리면 돌아다니는 중들이 엎드려 머리가 땅에 닿도록 절을 하고 염불하는 소리가 나는 듯한데 그 중심은 종에 있었다. 만불산이 완성되어 당나라에 보내니 대종은 "신라의 기교는 하늘이 준 것이지 사람의 것이 아니다"라고 격찬했다. 만불산의 제작은 당시 신라의 수공업·과학기술의 수준이 대단히 높았음을 알려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신라

신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만불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