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91. 1. 15(구력 1. 3), 바르샤바 |
---|---|
사망 | 1938. 12. 27, 소련 블라디보스토크 근처 프토라야레치카 |
국적 | 소련 |
요약 소련의 시인·문학평론가.
그의 작품 대부분은 스탈린 치하(1929~53)에서 발표되지 못했고, 1960년대 중반까지도 외국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만델스탐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교양있는 중류계급의 유대인 가정에서 자랐다. 1907년 일류학교인 테니셰프 학교를 졸업한 뒤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교, 프랑스의 소르본대학교, 독일의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공부했다. 그는 1910년 처음으로 전위지(前衛誌)인 〈아폴론 Apollon〉에 시 몇 편을 발표했다. 뱌체슬라프 이바노프의 아파트에서 열린 '탑'이라 부르던 문학모임과 니콜라이 구밀료프가 조직한 '시인조합'(Tsekh Poetov)의 회합에도 모습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구밀료프와 안나 아흐마토바와 함께 아크메이스트파(派)를 결성, 러시아 상징주의의 신비주의와 추상관념을 배격하고 명확함과 간결함, 형식의 완전함을 주장했다. 그는 선언문 〈아크메이즘의 아침 Utro Akmeizma〉에 시에 대한 자신의 신조를 요약해놓았다.
1913년에 첫번째 시집 〈돌 Kamen〉을 출판했다.
러시아 혁명에 뒤이은 내전 시기에는 크림과 조지아에 머물다가 1922년 모스크바로 이주해 2번째 시집 〈트리스티아 Tristia〉를 출간했다. 같은 해에 나데주다 야코블레브나 하지나와 결혼했다. 그의 시는 비정치적이고 지적으로 많은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공식 문학기구로부터 '내부 망명자'로 불렸다. 시를 출판하려는 계획이 취소되자 동화와 자전적 단편집 〈시간의 소음 Shum vremeni〉(1925)을 썼다. 1928년에 나온 이 책의 중판에는 〈이집트의 인장 Yegipetskaya marka〉 이야기를 추가했고 이를 책 제목으로 삼았다.
같은 해에 시집 〈시 Stikhotvoreniya〉와 문학평론집 〈시에 관하여 O poezii〉를 출간했다. 이들은 그의 생애 마지막으로 소련에서 발행된 책들이다.
스탈린주의자의 공포정치가 전소련을 덮쳤을 때 그는 정치국 임원 니콜라이 부하린의 후원과 보호를 받았다. 그러나 1934년 스탈린을 풍자한 시를 써서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와 안나 아흐마토바 등의 친구들이 모인 자리에서 읽었다는 이유로 체포당했다. 경찰의 손으로 들어간 그 시의 초고에는 스탈린의 손가락을 '벌레'로, 콧수염을 '바퀴벌레의 수염'으로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그를 '살인자이자 농민 살해자'로 일컬었다.
모진 심문으로 건강을 해친 그는 아내와 함께 지방 소도시 체르딘에 유배당했다. 병원에 입원하고 한차례 자살기도를 벌인 뒤 아내와 보로네주로 이주해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다. 주기적으로 정신병이 발병하는 고통을 겪으면서도 훌륭한 서정시들을 담은 일련의 장편시 〈보로네주의 수첩 Voronezhskiye tetradi〉을 썼다.
1937년 5월 형기(刑期)를 마치고 아내와 모스크바로 돌아왔다.
그러나 이듬해 요양소에 머물고 있을 때 다시 체포당했다. 그해 가을 아내에게 보낸 편지에는 블라디보스토크 근처의 임시수용소에서 병들어 있다고 밝혔으나 그뒤로는 아무 소식도 없었다. 1939년초에 죽었다는 정부 소식통의 보고도 있었지만, 소련 당국은 그의 사망 날짜를 1938년 12월 27일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오시프 만델스탐의 시가 거의 유실되지 않은 것은 1980년에 죽은 아내 나데주다의 노력 덕분이었다. 그녀는 탄압 시기에는 남편의 작품을 암기했고, 남편 친구들이 베껴놓은 것들을 모아 소멸되지 않도록 했다.
그녀가 쓴 2권의 회고록 〈희망에 반하는 희망 Hope Against Hope〉(1970)과 〈버려진 희망 Hope Abandoned〉(1974)이 서양에서 발행되었다. 스탈린이 죽은 뒤 소련에서 만델스탐의 작품들이 다시 발행되었다. 그는 급속히 세계적 명성을 얻었으며 몇몇 비평가들은 그의 작품을 그와 가까운 문학 동료였던 아흐마토바나 파스테르나크의 작품과 같은 수준으로 평가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