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이크로폼

다른 표기 언어 microform 동의어 microcopy, microrecord

요약 인쇄물이나 그래픽을 사진방식이나 전자방식으로 아주 작게 축소시키는 과정.
microcopy, microrecord라고도 함.

이렇게 축소된 것을 읽거나 재생본을 만들기 위해 나중에 다시 광학장치로 확대할 수 있다. 마이크로폼 체계는 오래 보관되고 매우 간편하며, 쉽게 꺼내 볼 수 있는 파일 기록을 제공한다(→ 사무기기). 좁은 마이크로필름 위에 극도로 축소된 크기로 촬영해 찍어내는 대규모 상업적 이용의 최초는 1928년 이스트먼코닥사가 레코닥(Recordak)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시작되었다. 연속 자동 카메라가 16㎜ 필름에 서류를 찍었으며, 은행수표 이체나 결제작업 때 수표를 복사하기 위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곧 기업·정부·교육기관에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되어 보급되었으며 35㎜ 필름도 16㎜ 필름과 함께 사용되었다.

마이크로 사진술은 20세기 후반에 수십 가지의 처리 공법들과 다양한 축소방식들이 도입됨으로써 급속도로 성장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폼은 롤 또는 카트리지 마이크로필름과 같은 연속 매체의 형태로 되어 있거나 마이크로칩 같은, 각각 물리적으로 분리된 기록물들(예를 들면 자동재생 체제에서 사용되는, 코드화된 마이크로 영상을 담고 있는 마이크로필름)이나 마이크로피시(microfiche:육안으로 읽을 수 있는 제목이나 코드를 필름 맨 꼭대기에 보여주는 마이크로필름의 한 형태)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 마이크로폼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대개는 사진촬영 방식을 사용하지만, 비디오 마그네틱 테이프 촬영과 같은 다른 방식들도 사용한다.

대부분의 마이크로폼 기술을 이용해 서류첩이 보급되거나 여러 다른 장소에 보관될 수 있도록 쉽게 복사본을 만들 수 있다.

개별 기록물과 연속적 기록매체를 위한 자동화 장비들은 고속으로 마이크로폼을 처리해낼 수도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대부분 기계 내부에 있는 파일 번호와 영상을 일치시켜 마이크로폼 영상을 저장한다. 복사 명령을 내리면 그 장비는 자동으로 파일에서 적당한 영상을 골라내어 원본의 인화지복사 방식이나 마이크로폼 복사 방식으로 복사한다.

자동화된 마이크로폼 체계 중 어떤 것은 영상을 가지고 있는 기계 코드 형태로 색인정보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체계는 기계적인 색인조사를 가능하게 하며, 어떤 경우에는 색인조사에 반응하여 선택된 기록내용의 복사물을 신속히 전달하기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취미

취미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마이크로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