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림프는 체액의 균형을 유지하고 조직에서 세균을 없앤다. 림프의 성분 중 두드러진 것은 림프구와 대식세포, 즉 몸이 외부 미생물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면역체계의 주요세포이다. 림프는 조직에서 림프관을 거쳐 정맥혈류로 운반된다. 그 과정에서 림프는 림프 기관과 림프절을 거쳐 여과된다. 림프관벽의 압력은 혈관벽보다 낮고 림프는 혈액보다 천천히 흐른다. 림프관의 세포벽은 모세혈관의 벽보다 투과성이 높다.
감염이나 기타 질병이 생기면 림프절이 붓게 된다. 세균이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 암세포가 몸 곳곳에서 림프절로 모여 림프구의 증식을 자극하여 림프절이 확대된다. 림프계 질환인 악성종양은 림프성백혈병이나 림프종이 된다. 서혜부에 있는 림프절이 크게 부으면 림프절 페스트에서 나타나는 가래톳이 만들어진다.
체액의 균형을 유지하며 조직에서 세균을 없앤다.
림프는 림프 통로와 림프관을 거쳐 혈액순환계로 들어간다(인간의 림프계). 림프를 구성하는 성분 중 두드러진 것은 림프구와 대식세포, 즉 몸이 외부 미생물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면역체계의 주요세포이다. 고등동물의 림프구는 하등동물의 림프구보다 다양한 외부미생물들을 분별해낸다. 림프는 조직에서 림프관을 거쳐 정맥혈류로 운반된다.
그 과정에서 림프는 림프 기관(비장과 흉선)과 림프절을 거치면서 여과된다. 림프관벽의 압력은 혈관벽보다 낮으며 림프는 혈액보다 더 천천히 흐른다. 림프관의 세포벽은 모세혈관의 벽보다도 투과성이 높다. 따라서 혈액을 따라 조직으로 운반되었으나 모세혈관으로 다시 들어가기에는 너무 큰 단백질들은 국소 조직세포에서 합성된 큰 단백질이나 노폐물과 함께 먼저 림프관으로 들어갔다가 혈류에 합류한다.
척추동물의 림프관은 일반적으로 지주정맥(cardinal vein)이 심장으로 들어가는 부근에서 혈류에 합류한다.
포유동물에서는 림프가 쇄골밑정맥(subclavian vein)에서 혈류로 들어간다. 어류에서는 림프관이 꼬리 근처의 꼬리정맥(caudal vein)으로 들어간다. 림프관은 세포 사이에 있는 림프까지 계속 나누어지며 나누어질 때마다 더 좁아진다. 큰 림프관에는 판이 있어서 림프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한다.
포유동물의 림프는 1차적으로 림프관 주위에 있는 근육의 마사지 효과에 의해 림프관을 따라 흐른다.
포유동물보다 하등한 동물에는 림프관 사이에 림프 심장이라고 하는 근육의 팽창 부위가 있어서 림프를 내보낸다. 예를 들어 개구리에는 림프 심장이 2쌍 있는데 앞쪽의 심장은 림프를 추골정맥(椎骨靜脈)으로 보내고, 뒤에서는 림프를 장골정맥(腸骨靜脈)으로 보낸다. 어깨와 미골(尾骨) 부근의 피부 밑에서 이 심장들이 뛰는 것을 볼 수 있다. 모든 다세포동물은 자신의 세포와 외부 미생물을 구별하고, 후자를 중성화시키거나 먹어버린다.
대식세포(문자 그대로 '크고 먹는 세포')는 이물질을 둘러싸고 섭취하는 운동성 세포이다. 경골 어류보다 고등한 동물은 대식세포와 림프구(외부 미생물을 화학적으로 중화시키는 반응을 하는 백혈구)로 구성된 림프 조직이 몇 곳에 집중되어 있다. 포유동물의 비장(spleen)·흉선·림프절이 바로 그러한 곳이며, 이외에도 림프조직은 몸 전체에 걸쳐 외부 미생물이 가장 들어오기 쉬운 곳(장벽이나 사람의 편도, 아데노이드 같은 곳)에 집중되어 있다.
림프는 체조직으로 들어갈 길을 찾은 세균이나 기타 입자들을 흡수하여 림프절로 운반하는데, 이곳에서는 림프동을 가로지르는 림프 조직 띠들 때문에 더이상 나아가지 못한다.
림프구는 외부 침입물에 반응해서 증식하여 일부는 그 림프절에 남고, 나머지는 몸의 다른 림프절로 옮겨간다. 이 세포 중 일부는 세균의 침입에 대항해 항체를 만들고 다른 세포는 직접 공격에 참여하여 이물질을 둘러싸 삼켜버린다. 림프계의 1차적인 기능은 단백질과 체액을 혈액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지만, 면역기능도 하기 때문에 감염이나 기타 질병이 생기면 림프절이 붓게 된다.
세균이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 암세포들이 몸의 곳곳에서 림프절로 모여 림프구의 증식을 자극함으로써 림프절이 매우 확대된다. 질병으로 인해 림프의 흐름이 막히면 막힌 관에서 배수된 체액이 조직 내에 쌓여 림프 부종이라는 조직부종을 일으키기도 한다.
다른 심각한 림프계 질환으로는 악성종양이 있는데 림프의 증식 특성에 따라 림프성백혈병이나 림프종이된다.
순환하는 림프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은, 어린이에게 흔히 일어나는 매우 치명적 질병인 림프성백혈병의 특징이다. 순환하는 림프 세포가 서서히 증가하는 것은 급성 또는 만성림프성백혈병으로 45세 이상의 환자에 더 흔하다. 두 경우 모두 혈류에 림프구가 축적되고 빈혈이 나타난다. 림프세포의 악성 증식으로 인해 림프절 전체가 확대되는 것은 호지킨병을 포함한 림프종들의 특징이다.
림프절이 국부적으로 붓거나 전체적으로 확대되는 것은 매독이나 감염성 단핵세포증가증(mononucleosis), 유전분증(類澱粉症 amyloidosis), 결핵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서혜부에 있는 림프절이 크게 부으면 림프절 페스트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가래톳(bubo)이 만들어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