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라쿤

다른 표기 언어 Raccoon 동의어 아메리카너구리, 완웅, 浣熊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포유강 > 식육목 > 아메리카너구리과 > 아메리카너구리속
원산지 북아메리카
서식지 산림의 물가나 수풀
크기 약 50cm ~ 70cm
무게 약 5kg ~ 8kg
학명 Procyon lotor
식성 잡식
멸종위기등급 LC(관심대상)

요약 아메리카너구리과의 포유류. 개과의 너구리와는 다른 동물이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유럽과 일본 등에도 분포한다. 검은 마스크를 쓴 듯한 얼굴 무늬와 자유자재로 앞발을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개요

아메리카너구리과 아메리카너구리속의 동물이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캐나다 남부부터 중앙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아메리카너구리(American raccoon), 북미너구리(North American raccoon), 북부너구리(Northern Raccoon) 등으로도 부른다.

물가가 있는 숲에 주로 서식하지만, 적응력이 뛰어나 산악 지대나 도심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20세기 중반 이후로 유럽과 일본 등에도 일부 분포한다. 반려동물이나 동물원 등으로 소개된 라쿤이 탈출하면서 전파된 경우다. 검은 마스크를 쓴 것처럼 보이는 얼굴 무늬가 특징이다. 매우 영리한 데다 귀여운 외모를 가지고 있어 반려동물로 키우기도 한다.

두 발로 선 라쿤

ⓒ Sonorax/Pixabay | Public Domain

라쿤은 먹이를 씻어 먹는다?

라쿤은 먹이를 먹기 전, 물에 넣어서 문지르는 습성이 있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이 행동은 먹이를 씻어 먹기 위한 것은 아니다. 야생에서 라쿤은 물속에서 물고기나 새우, 지렁이 등을 사냥할 때가 많은데, 이때 앞발을 사용해 먹이를 문지르거나 잘라서 원하지 않는 부분을 제거한다. 즉, 먹이를 물속에서 문지르는 것은 물에서 사냥하던 습성으로 인해 고정된 행동에 가깝다. 라쿤의 앞발은 마디가 있는 발가락 5개로 이뤄져 있어 먹이를 잡거나 나무를 탈 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라쿤(Raccoon)이란 이름도 아메리카 원주민 말로 ‘손으로 문질러 씻고 긁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 1물에서 먹이를 문지르는 라쿤

      라쿤은 먹이를 먹기 전 물에 넣어서 문지르는 경우가 많다. 먹이를 씻기 위한 것은 아니며, 물에서 사냥하는 습관이 굳어져 나온 행동이다.

    • 2물가를 걷는 라쿤
너구리와 라쿤의 차이

라쿤(아메리카너구리)과 너구리는 닮았지만, 다른 동물이다. 라쿤은 아메리카너구리과, 너구리는 개과에 속한다. 두 동물의 가장 큰 차이점은 꼬리 무늬와 발 모양이다. 라쿤은 꼬리에 5~10개 정도의 검은 줄무늬가 있지만, 너구리는 꼬리에 특별한 무늬가 없다. 또한, 라쿤은 앞발이 5개로 매우 발달된 반면, 너구리는 발가락이 4개로 개처럼 둥근 발을 가지고 있다. 라쿤은 앞발을 든 상태로 뒷다리로만 걸을 수 있지만, 너구리는 두 발로 일어설 수 없다.

    • 1너구리

      라쿤과 얼굴 무늬가 비슷하지만, 꼬리에 줄무늬가 없고 발이 뭉툭하다.

    • 2라쿤

      너구리와 달리 앞발에 긴 발가락이 있고 꼬리에 줄무늬가 있다.

외형

짧은 다리, 털이 무성한 꼬리, 뾰족한 주둥이, 작고 곧추선 귀를 가지고 있다. 털색은 회갈색이나 적갈색으로 얼굴과 꼬리에만 무늬가 있다. 특히 눈을 가로지르는 검은 무늬는 아메리카너구리의 가장 큰 특징이다. 검은 무늬 주변의 털은 흰색이로, 가장무도회에서 사용하는 도미노 마스크를 연상시킨다. 꼬리에도 고리 모양의 검은 띠가 5~10개 있다.

    • 1~2라쿤(아메리카너구리) 근접 촬영

아메리카너구리속에서도 몸집이 큰 편이다. 몸길이 약 50~70cm, 무게는 5~8kg 정도다. 단, 몸집과 체중은 서식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앞발은 마디가 있는 5개의 발가락을 자유롭게 사용한다. 앞발로 먹이를 집거나 나무를 탈 때 이용한다. 촉각이 매우 예민하다. 뒷발로만 서서 걸을 수 있다.

생태

야행성으로 주로 밤에 활동한다. 나무에 잘 오르며 나무구멍에서 잠을 자거나 둥지를 꾸민다. 잡식성으로 양서류, 설치류, 새알, 물고기, 열매와 식물 등을 다양하게 먹는다. 물고기와 양서류, 새알 등 사냥하기 쉬운 먹이를 선호하는 편이다. 먹이가 적은 봄과 초여름에는 곤충과 벌레를 주로 먹는다. 가을에는 과일을 포함해 도토리나 호두 등 견과류를 선호한다. 음식이 풍부한 환경에서는 개체에 따라 선호하는 음식이 달라질 수 있다. 나무를 매우 잘 타지만, 다리가 짧아 빨리 달리거나 멀리 뛰기가 어렵다. 물가에서 즐겨 사냥하는 동물답게 수영을 잘한다.

나무를 타는 라쿤

로어 클래머스 국립 야생생물 보호구역(Lower Klamath National Wildlife Refuge)에서 촬영. 미국 캘리포니아. 2003.01.22.

ⓒ David Menke/Lower Klamath National Wildlife Refuge | Public Domain

번식기는 1월에서 3월 사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6월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수컷은 넓은 영역을 돌아다니며 암컷을 찾는다. 교미는 며칠 간 이뤄지며 한 마리의 암컷이 수컷 여러마리와 교미하기도 한다. 임신기간은 60~70일 정도로 한 번에 3~4마리를 낳는다. 야생 라쿤의 평균 수명은 2~3년 정도다. 사망의 주요 원인은 교통사고와 사냥, 날씨 등이다. 동물원이나 반려동물로 사는 라쿤은 20년 이상 생존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서식지

주로 물이 있는 숲에서 서식한다. 적응력이 매우 뛰어나 암석 지대나 대도시 주변 등에서도 발견된다. 추운 겨울에는 오래된 나무구멍이나 바위 틈에서 잠을 잔다. 주로 물가에서 사냥하기 때문에 하천이나 습지대 등이 풍부한 지역일수록 개체수가 많다.

물에서 사냥하는 라쿤

ⓒ Melissa McMasters/Flickr | CC BY

도시의 라쿤

라쿤은 뛰어난 적응력으로 대도시 주변을 서식지로 삼기도 한다. 미국의 경우 1950년대 이후로 워싱턴 DC, 시카고, 토론토 등의 대도시 근교에서 라쿤이 종종 발견된다. 많은 라쿤이 작은 마을이나 교외 지역의 숲에 서식한다. 도시 인근의 라쿤은 곤충이나 과일, 음식물 쓰레기 등을 주로 먹으며 버려진 집이나 오두막, 오래된 나무 등에서 잠을 잔다.

라쿤과 인간의 서식지가 겹치면서 다양한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목조 건물을 상하게 하거나 쓰레기통을 뒤엎는 경우 등이 대표적이다. 농장 지역에서는 옥수수 등의 농작물을 먹거나 계란을 먹기 위해 닭장 등에 침입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강원도 지역에 일부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 1나무 위의 라쿤들
    • 2지붕 위에 올라간 라쿤 (독일, 2007)
    • 3도로를 건너는 라쿤 (미국 플로리다)

주의사항

우연히 야생 라쿤을 만났다면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야생 라쿤은 공격성이 강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야생 라쿤은 광견병이나 기생충 질환 등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라쿤을 포함한 야생동물의 광견병 예방을 위해 숲에 백신을 살포하고 있다.

반려동물 라쿤

귀여운 외모와 활동적인 성격 때문에 라쿤을 반려동물로 키우기도 한다. 단, 명령을 통해 훈련시키기는 힘들고 예기치 않게 공격적으로 행동할 수도 있다. 특히 번식기에는 난폭해질 수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지능이 뛰어난 만큼, 호기심이 매우 강하고 활달하다. 다른 반려동물과 달리 앞발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있다. 라쿤 대부분이 앞발로 물통이나 방문을 열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라쿤


[Daum백과] 라쿤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