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라싸

다른 표기 언어 Lasa , 拉薩
요약 테이블
위치 티베트 남부, 브라마푸트라 강의 지류인 라싸 강이 이루는 넓은 곡저평야
인구 559,423명 (2010 추계)
면적 29,274㎢
언어 중국어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요약 중국의 행정구역. 브라마푸트라 강의 지류인 라싸 강 부근, 티베트 히말라야 산맥의 3,650m 고지에 있다. 9세기에 토번의 수도였다가 842년 그 지위를 잃었다. 그후 종교적으로는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1642년 다시 중앙 정부의 수도가 되었다. 1951년 라싸와 티베트가 중국에 점령되었으나 1959년까지 티베트 정부의 통치를 받았다. 1959년부터 중국이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다. 도시 중앙에 있는 7세기 중엽 건설된 축락캉 사원은 티베트 최고의 성지이다. 그밖의 유적으로 루캉 사원, 포탈라 궁, 놀북링카가 있다. 티베트 최대 사원인 데풍 사원과 세라 사원이 복원되었다. 경제는 수공예품을 제외하고는 무기제조·조폐가 유일한 산업이었다.

라싸(Lasa)

ⓒ VY/Pixabay | Public Domain

브라마푸트라 강의 지류인 라싸 강 부근, 티베트 히말라야 산맥의 3,650m 고지에 자리하고 있다.

라싸는 9세기에 이미 토번(티베트에 있던 옛 국명)의 수도였다. 842년 토번의 왕이 암살된 후 국가권력이 지방으로 분산되면서 수도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그러나 그후 몇 세기 동안 종교적으로는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이 도시는 토번의 종교 중심지였고 주민의 상당수가 불교승려와 신도들이었다. 1642년 다시 중앙 정부의 수도가 되어 20세기까지 이 위치를 고수했다. 1951년 라싸와 티베트가 중국에 점령되었으나, 1959년까지는 티베트 정부의 통치를 받았다. 1959년부터 중국이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다.

도시 중앙에는 7세기 중엽에 건설된 축락캉(Gtsuglag-khang) 사원이 있는데, 4층으로 된 이 사원은 티베트 최고의 성지로 여겨진다. 1951년 이 건물의 예술적·건축적 전통미를 복원시키는 작업이 시작되어 1979년에는 원래의 종교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다른 유적으로 루캉(Klu-khang) 사원, 한때 달라이 라마의 겨울 숙소로 사용되기도 한 포탈라 궁, 달라이 라마의 여름 궁전이었던 놀북링카(Nor-bu-glingka : '보석궁'이란 뜻으로 지금은 인민 휴양 공원)가 있다. 티베트 최대 사원인 데풍(Drepung) 사원과 세라(Se-ra) 사원이 복원되었다.

중국이 점령하기 전에 라싸의 경제는 중국·인도·네팔·부탄에서 라싸로 통하는 역사적 교역로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수공예품을 제외하고는 무기제조 및 조폐가 유일한 산업이었다. 1980년대 중국은 라싸를 대외무역을 위해 개방하고 그 외곽에 실험농장을 설립하여 목축업의 과학화를 장려했다.

중소기업으로 화학제품생산, 전기 모터 제조, 제혁, 울 가공, 약품 및 비료 생산, 자동차 정비 및 수리, 트랙터 조립, 융단·양탄자 제조, 시멘트 생산 등이 있다. 사범대학과 공항이 하나 있다. 중국의 쓰촨 성[四川省], 칭하이 성[靑海省], 신장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의 대도시들과 도로로 연결된다.

지도
라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라싸


[Daum백과] 라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