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라므네

다른 표기 언어 (Hugues-) Félicité(-Robert de)Lamennais
요약 테이블
출생 1782. 6. 19, 프랑스 생말로
사망 1854. 2. 27, 파리
국적 프랑스

요약 프랑스의 사제.

프랑스 혁명 이후 정치적 자유주의와 로마 가톨릭 신앙을 결합시키려 한 철학적·정치적 저술가이다. 그는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는데 그 가정의 자유주의적 공감대는 프랑스 혁명에 의해 위축되었다. 형인 장과 함께 일찍이 로마 가톨릭을 부흥시켜 사회를 갱신하려는 생각을 가졌다.

나폴레옹이 프랑스 교회를 복구시키자 라므네 형제는 〈18세기 프랑스 교회의 상태와 현재 상황에 대한 고찰 Réflexions sur l'état de l'église en France pendant le 18e siècle et sur sa situation actuelle〉(1808)에서 교회개혁의 계획을 제시했다. 5년 뒤 황제와 교황 사이의 불화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그들은 교황지상주의를 옹호했다. 교황지상주의란 교회의 중앙집권제와 교황의 권위를 지지하는 운동으로 교황의 권력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갈리아주의와 반대되는 움직임이다.

1816년 사제서품을 받고 1817년 〈종교적 무관심에 관한 고찰 Essai sur l'indifférence en matière de religion〉 첫 권을 출간했다. 개인적 판단보다는 전통에 호소했기 때문에 이 논문은 곧 유명해졌다. 그러나 그의 입장은 바뀌기 시작했다. 그의 저서 〈교회에 대한 투쟁과 혁신의 진행과정에 대하여 Des progrès de la révolution et de la guerre contre l'Église〉(1829)에서 그는 주교들과 국왕이 옹호하는 갈리아주의를 비난하면서도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신앙과 정치적 자유주의를 연결시키려는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1830년 7월혁명이 끝난 뒤, 앙리 라코르데르, 샤를 드 몽탈랑베르, 열렬한 자유주의 로마 가톨릭 작가들과 더불어 〈미래 L'Avenir〉를 창간했다. 이 신문은 민주주의 원칙과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주장했는데 이때문에 프랑스 교회와 국가 모두로부터 비난을 받았으며, 교황지상주의를 지지했으나 교황 그레고리우스 16세는 자신에게 맡겨진 혁명적인 역할을 받아들일 마음이 없었기 때문에 로마에서도 거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

1831년 11월 이 신문이 폐간당하자 교황에게 호소했지만 소용이 없었으며, 1832년 8월 〈교황회칙 Mirari Vos〉에는 〈미래〉의 원칙을 비난하는 글이 실렸다. 이에 대해 라므네는 〈한 신자의 발언 Paroles d'un croyant〉(1834)에서 교황권과 유럽 군주들을 공격하여 교황회칙 〈Singulari Nos〉(1834. 9)가 나오게 되었으며 그는 교회와 격리되었다. 이후로 〈민중의 책 Le Livre du peuple〉(1838)을 비롯하여 철학서와 문학서를 계속 썼고 1848년 혁명 이후에 제헌의회에서 일했다. 그러나 쿠데타가 일어나 루이나폴레옹의 독재체제가 무너지자 그의 희망은 다시 한번 좌절되었다. 끝까지 교회와 화해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죽은 뒤 빈민묘지에 묻혔다.

라므네의 생애와 작품은 A.R. 비들러의 〈예언과 교황제도 : 라므네, 교회, 혁명에 관한 연구 Prophecy and Papacy : A Study of Lamennais, the Church and the Revolution〉(1954)에 실려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라므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