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른 표기 언어 rice cake

요약 한국의 전통음식. 쌀을 주재료로, 오곡에 갖가지 과일, 나물, 열매 등의 독특한 향기와 맛, 자연 색소들을 이용해 만든다. 떡은 주식으로도 쓰였으며 잔치와 제사, 고사 등에 빠질 수 없는 음식이다. 낙랑유적에 시루가 발견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지금의 시루떡과 비슷한 음식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재료와 제조법에 따라 100여 종류가 있다.

다양한 송편들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송편과 절편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찰떡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요

쌀을 주재료로 만든 한국의 전통음식. 한국은 예로부터 오곡에 갖가지 열매, 과일이나 나물 등의 독특한 향기와 맛, 자연색소들을 이용해 영양가 높고 맛이 좋으며 볼품 있는 갖가지 떡을 만들어왔다. 떡은 별미로서만 아니라 주식으로도 쓰였으며 잔치와 제사, 고사 등에 빠질 수 없는 음식이었다. 만드는 방법에 따라 시루떡류·증편류·흰떡류·송편류·찰떡류·경단류·전병류·웃기류 등으로 나뉜다.

유래

한국에서 떡이 언제부터 만들어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낙랑유적에 시루가 발견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지금의 시루떡과 비슷한 음식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밖에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 중 쌀을 주식으로 먹는 지역에서도 떡이 발달해온 역사가 있다. 떡은 주식으로도 쓰였지만 집안 대소사를 기리는 별식으로 만들어졌다.

별식으로의 떡은 나누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귀신에게 제물로 올려진 떡은 ‘복떡’으로 이웃과 친척들이 함께 먹으며 즐겼다. 액막이로 아이가 변소에 빠지는 것을 면하기 위해 ‘똥떡’을 만들어 변소귀신을 달래고 나누어 먹기도 했다. 또 떡이 쪄진 상태의 여부로 점을 치기도 했는데 제주도의 ‘모돔떡점’이 대표적이다. 이 밖에도 한가윗날 송편의 모양새와 쪄진 상태로 여자들이 미래의 낭군이나 태어날 아기를 점치기도 하는 등 떡은 한국민의 전통을 드러내는 중요한 음식이다.

종류

떡은 재료의 특성에 따라 가루를 내어 만드는 것과 쌀 그대로 만드는 것으로 나뉘고, 만드는 방법에 따라 시루떡류, 증편(기지떡)류, 흰떡류, 송편류, 찰떡류, 경단류, 전병류, 웃기류 등으로 나뉜다. 이 밖에 형태가 둥글고 납작한 것, 네모난 것, 반달 같은 것, 꼬리가 달린 것, 지진 것 등이 있어 그에 따라 나뉘기도 하고, 같은 떡이라도 보조재료를 섞는 방법, 고물을 묻히는 방법, 고명을 놓는 방법, 물색을 내는 방법 등으로 색채와 형태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재료

떡감으로는 멥쌀, 찹쌀을 비롯한 여러 잡곡과 잣, 밤, 대추 따위의 과일들, 쑥, 취, 호박, 채소 등이 있다.

제조법

떡을 맛있게 만들려면 떡고물과 떡에 섞는 여러 가지 재료들을 잘 손질해 가공해야 하며 떡 가루를 내는 일에서부터 떡을 익히는 일에 이르는 과정도 중요하다. 떡 만드는 데는 쌀 불리기, 떡가루 물내리기, 떡 간 맞추기, 시루 앉히기, 김 올리기, 뜸들이기 등의 여러 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떡고물을 선정하고 만들기, 떡 모양 만들기, 떡에 문양을 찍는 일, 고물 묻히기, 그릇에 담는 일 등도 떡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음식

음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6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떡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