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에 기생하는 해충. 기생하는 신장에 따라 간디스토마와 폐디스토마 두 종류가 있다. 간디스토마는 일본과 타이완 등지에서 발견되며 한국에서는 낙동강 유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폐디스토마는 극동지방에서 발견되며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발견된다. 간디스토마가 침입하면 복부팽만이나 소화불량과 같은 증세가 나타나고, 폐디스토마가 침입하면 폐결핵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디스토마에는 치료제인 프라지콴텔이 가장 효과적이다.
간디스토마
일본·타이완·인도차이나·중국·필리핀 등 각지에서 발견되며 한국의 낙동강 유역에 큰 유형지가 있다.
외계로 배출된 충란은 제1중간숙주인 담수산 패류(왜우렁) 속에서 부화·발육한 다음 수중으로 나와 제2중간숙주인 담수어(참붕어·잉어 등)에 침입하여 생장·변화한 후 어육 내에 피낭유충(被囊幼蟲)으로 존재한다. 이 피낭유충을 담수어 생어육(生魚肉)과 함께 종숙주가 섭취하면 십이지장 안에서 탈낭하고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거쳐 간으로 침입한다. 간내담도에서 생장하여 약 1개월 뒤면 성충으로 성숙되어 산란한다.
사람 이외에도 개·고양이 등이 주요한 숙주로서 자연 감염된다. 간디스토마로 인한 병변은 대체로 기생충체수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적어도 약 1,000마리 이상의 기생이 아니면 인체에 치명적인 해는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간흡충증). 병변은 충체의 기계적 자극으로 인하여 담관점막의 손상을 초래하고, 대사성 물질에 의한 독성 작용으로 인하여 간세포의 변성왜축과 간엽결체조직의 불규칙한 증식이 일어난다.
증후는 잠재적·만성적인데 소수기생이면 거의 증상이 없으나 재감염에 의한 기생충체의 축적으로 간의 병변이 진행되면 복부팽만·소화불량·간비대 등이 나타나고 감염이 심하면 만성설사·부종·복수·황달·위장출혈·빈혈 등이 초래된다. 변에서 또는 십이지장 사운드를 이용하여 채취한 담즙에서 특이한 충란을 발견하여 진단한다.
치료는 프라지콴텔(pratiquantel)이 가장 효과있는 치료제로서 하루 총량 75㎖/㎏을 3회로 나누어 하루만 복용하면 된다.
폐디스토마
인체기생의 주요 유행지는 극동지방에 국한된다.
한국에는 함경북도 일부를 제외한 거의 전국 각지에 유행지가 산재해 있다.
충란은 맑은 물에서 부화하여 유충이 되며 제1중간숙주인 패류(다슬기 종류) 속에서 성장한 다음, 다슬기를 나와 수중에서 제2중간숙주인 가재·게 등의 아가미·내장 또는 근육에 침입하여 피낭유충이 된다. 가재·게 등을 섭취하는 종숙주 내로 들어가 십이지장에서 탈낭하고 복벽을 통과한 뒤 복강으로 나와 체류하다가, 횡격막을 관통하고 늑막강을 거쳐 폐와 소기관지 부근까지 침입하여 성충으로 발육한다.
본충은 발육전기에 복강 및 주위조직을 배회하는 특성이 있으며, 폐에 침입하는 것은 감염 후 20~30일 이후이므로 폐 이외의 조직기관에 이행하여 병변을 일으키는 소위 이소기생(ectopic parasitism)이 복강·횡격막·종격동·간·장간막·음낭·안와 또는 뇌 등에서 발견된다(폐흡충증). 병변으로는 충체의 기계적 작용과 대사산물에 의한 염증성 반응이나 조직 파괴가 흔히 일어난다.
증후는 대개 잠재적으로 시작하여 진행성 만성상태로 진전되며 폐결핵과 비슷한 경과를 취한다. 기생 부위에 따라 4가지 형태로 분류하기도 한다. 즉 ① 흉부폐디스토마증, ② 복부폐디스토마증, ③ 뇌폐디스토마증, ④ 전신성폐디스토마증이다. 이 가운데 흉부폐디스토마증이 가장 많은데, 이것은 서서히 진행하며 초기에는 무증상이거나 가벼운 복통·흉통 등이 나타나다가 폐에 침입하면 기침과 끈적끈적한 쇠녹물색 객담을 배출한다.
복부폐디스토마증의 경우는 복부의 둔통·경직·압통이 나타난다. 충체가 장벽에 기생하면 설사를 하기도 하고, 간에 간농양이 형성되기도 한다. 뇌폐디스토마에서는 대개 잭슨형(Jacksonian type)의 간질이 나타나며, 반신불수증·국소마비·부전마비(payesis)·실어증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전신성폐디스토마증에서는 각 형의 임상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주로 객담에서 충란을 발견하여 진단하며 변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X선상의 석회화(calcification) 현상이 도움이 되기도 하고, 혈청학적 진단법을 응용한 피내반응검사도 이용된다. 치료는 간디스토마와 마찬가지로 프라지콴텔이 가장 효과적이다. 사용법은 하루 총량 75㎖/㎏ 을 3회로 나누어 1~2일간 복용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동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