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중국 최대의 평야.
(병). Dongbei Pingyuan. (웨). Tungpei P'ingyan. (영). Manchurian Plain. 쑹랴오 평원[松遼平原]이라고도 함.
중국의 동북부(만주지방)에 있으며, 쑹넌[松嫩]·랴오허[遼河]·싼장[三江] 평원의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샤오싱안링 산맥[大小興安嶺山脈]과 창바이 산맥[長白山脈] 사이에 있으며 남북으로 약 1,000㎞, 동서로 300~400㎞ 가량 펼쳐져 있다. 넓이는 약 35만㎢이고, 대부분의 지역이 해발 200m를 넘지 않는다.
쑹넌 평원과 랴오허 평원은 지형상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원래는 두 평원의 수계(水系)가 서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후에 지각운동의 영향으로 창춘[長春]·창링[長嶺]·퉁위[通楡] 일대가 융기하여 서북·동남 방향의 쑹랴오 분수령이 생겨났으며, 이로 인해 남북으로 흐르던 강줄기가 끊어졌다. 하지만 이 분수령은 낮고 완만해 해발 200~300m 정도이며 양측의 평원에 비해 몇 십m 정도밖에 높지 않다. 중국의 동북부 끝에 있는 싼장 평원은 헤이룽[黑龍]·쑹허[松河]·우수리의 세 강이 이 지역을 흐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대부분의 지역이 해발 50m 이하로 지세가 낮고 평평하며 배수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넓은 늪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둥베이 평원은 온대성 습윤기후 또는 반습윤기후에 속하며, 겨울철 기온이 낮고 결빙기가 길다. 그러나 여름철 기온은 높아서 남부 랴오허 평원에서는 2년 3모작이 가능하며 그외의 지역에서는 1년 1모작을 한다. 토양은 비옥하기로 유명한 '흑토'(黑土) 분포지대에 해당하므로 부식질의 함량이 많고 통풍과 저수가 잘 되기 때문에 대두·수수·옥수수·밀·사탕무·아마 등이 많이 난다.
또한 논벼를 심을 수 있는데 이 지역은 중국에서 제일 먼저 메벼가 익는 곳이다.
과거에는 쑹넌 평원과 싼장 평원에 거의 사람이 살지 않았기 때문에 '북쪽의 황무지'라고 불렸으며, 랴오허 강의 하류지역도 대부분 늪지였기 때문에 '남쪽의 황무지'라고 일컬어졌다. 1949년 이후 대대적인 늪지대 개간사업으로 대형농장이 세워지자 많은 소도시와 공장들이 들어섰다. 그리하여 북쪽의 황무지는 곡창지대로 변했고, 남쪽의 황무지도 논들이 가득 들어찬 개간농지가 되었다.
한편 둥베이 평원의 풍부한 농업생산은 이 지역의 거대한 공업체계를 떠받치는 힘이 되고 있으며, 평원에 매장된 풍부한 석유와 평원 주변 구릉지역에 매장된 석탄·철·구리 등의 풍부한 광산자원에 힘입어 이미 중국의 주요한 석유·석탄·사철(砂鐵) 산지가 되었다. 주요공업도시로는 선양[瀋陽]·창춘[長春]·하얼빈[哈爾濱]·다칭[大慶]·우순[撫順]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