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카메룬 서부 리토랄 주, 우리 강 어귀의 남동쪽 기슭 |
---|---|
인구 | 3,927,000명 (2022년 추계) |
면적 | 210㎢ |
언어 | 영어, 프랑스어 |
대륙 | 아프리카 |
국가 | 카메룬 |
요약 아프리카 중서부 카메룬의 항구도시. 야운데에서 서쪽으로 약 210㎞ 떨어진 대서양 해안, 우리 강 어귀의 남동쪽 기슭에 있다. 이 도시는 카메룬의 모든 주요도시와 도로로 연결되어 있고, 쿰바·은콩삼바·야운데·응가운데레까지 철로가 놓여 있으며, 국제공항도 있다. 전통적인 건축물과 식민지시대 건축, 그리고 현대식 건축물들이 뒤섞여 있는 두알라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빠르게 성장해왔으며, 카메룬 공화국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기도 하다. 중부 아프리카의 공업 중심지에 속하는 이곳에는 양조장·섬유공장 및 야자유·비누·식품가공 등의 공장이 있으며, 건축자재·금속제품·플라스틱·유리·종이·자전거·목재 등을 생산한다.
야운데에서 서쪽으로 약 210㎞ 떨어진 대서양 해안, 우리 강 어귀의 남동쪽 기슭에 있다. 1,800m의 우리 대교(大橋)는 바나나 수출항구인 보나베리와 이어주며 서부 카메룬으로 통하는 도로와 철로를 연결해 주고 있다.
이 도시는 카메룬의 모든 주요도시와 도로로 연결되어 있고, 쿰바·은콩삼바·야운데·응가운데레까지 철로가 놓여 있으며, 국제공항도 있다. 두알라는 1901~16년 독일령 카메룬의 수도였다가 카메룬의 수도가 되었다(1940~46).
전통적인 건축물과 식민지시대 건축, 그리고 현대식 건축물들이 뒤섞여 있는 두알라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빠르게 성장해왔으며, 카메룬 공화국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기도 하다. 서구식 주택지구와 시골 및 기타 아프리카 국가에서 이주해온 미숙련공들의 주거지가 섞여 있다.
중부 아프리카의 공업 중심지에 속하는 이곳에는 양조장·섬유공장 및 야자유·비누·식품가공 등의 공장이 있으며, 건축자재·금속제품·플라스틱·유리·종이·자전거·목재 등을 생산한다. 그밖에 보트, 선박수리, 철도공작, 라디오 조립 등도 행해진다.
연해에 매장되어 있는 천연 가스는 1980년대 중반에 와서야 개발되었다. 수심이 깊은 두알라 항구는 해외무역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어로설비는 물론이고 목재·바나나·가솔린·보크사이트 등을 처리할 수 있는 특수시설을 갖추고 있다.
야운데대학교 분교(경제학부)와 여러 상업·농업·실업 학교 및 보건, 임업, 섬유, 유료(油料) 종자 추출, 기상학 연구소가 있다. 박물관과 수공예품 센터가 있어 카메룬 예술의 창작 및 보존에 기여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