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1980.11.17 |
---|---|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64호 |
요약 목조가구의 결합부분에 장식되는 황동 장석을 만드는 장인. 국가무형문화재 제64호이다. 장석은 목가구나 건조물에 붙어 결합부분을 여닫을 수 있는 자물쇠 등의 금속 장식을 일컫는다. 재료는 주로 황동과 백동이 쓰인다. 장석의 종류로는 장석이 붙여지는 물건에 따라 농장석·궤장석·의걸이장석·벼락닫이장석·모반장석·전통장석 등이 있다.
황동 장석을 만드는 장인. 장석이란 목조가구나 건조물에 붙어서 결합부를 보강하거나 여닫을 수 있는 자물쇠와 같은 금속제의 장식을 일컫는데, 이러한 장석을 황동으로 만드는 장인을 두석장이라 부른다.
〈경국대전 經國大典〉 공전조의 기록을 보면 조선시대에는 일찍이 금속공예가 분업화되어 두석장·은장·입사장·금박장·환도장·치장·조각장 등의 장인들이 국가기관에 소속되어 있었다. 문갑·탁자·미닫이 같은 소목가구에는 수자문·환희천지·쌍희문·쌍용문 등의 장식문양뿐만 아니라 손잡이장식이 필요했다. 장석이 붙여지는 물건에 따라 농이면 농장석, 궤라면 궤장석, 의걸이장석, 벼락닫이장석, 모반장석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었다.
장석은 구리와 주석을 합금하여 만들며 두석장은 공조 상의원에 부속되었던 경공장이었다. 두석장 역시 천인신분이었으며, 관에 소속되어 노동력을 바쳐야 했다. 조선 후기에는 민간수공업의 일정한 발전과 더불어 신분이 분화되었으며, 두석장도 민간수공업의 길로 나아갔다.
국가무형문화재 제6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기·예능보유자로 김극천과 박문열이 있다. 한편, 통영의 두석장 전통은 1593년 이순신 장군이 영문 안에 설치했다는 13공방 전통으로부터 기원하여 나전칠기·소목장과 더불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공예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