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65. 3. 6, 중국 안후이 성[安徽省] 허페이[合肥] |
---|---|
사망 | 1936. 11. 2, 상하이[上海] |
국적 | 중국 |
요약
1916~26년 몇 차례 중국을 지배한 군벌.
(병). Duan Qirui. (웨). Tuan Ch'ijui.
독일에서 군사학을 공부하고 1911년의 신해혁명(辛亥革命)이 끝난 뒤 위안스카이[袁世凱] 총통 밑에서 육군총장이 되었다. 1916년 위안스카이가 죽기 직전에 총리가 되었고 뒤이은 3정부에서도 계속 총리직에 있었다. 위안스카이가 1913년에 폐지한 임시약법(臨時約法 : 1912 제정)을 부활시켰다.
1917년 5월 중국이 연합국의 일원으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할 것을 의회에 요구하다가 리위안훙[黎元洪] 총통에 의해 해임당했다. 그 직후 청(淸) 황제를 복위시키려는 시도를 진압하고 다시 권력을 장악했다.
1917년 8월 14일 그는 독일에 선전 포고를 했고 일본의 군사·재정지원을 받았다. 일본의 도움으로 돤치루이와 그 일파는 안복파(安福派)라 불리는 군벌정권을 형성했다. 돤치루이가 일본의 원조를 받아들이자 일반 국민들은 돤치루이가 중국을 제국주의자들의 지배하에 복속시켰다고 우려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독일이 중국에서 차지하고 있던 특수권익을 일본에게 넘겨주게 되자 국민들의 이러한 우려는 더욱 커졌다. 마침내 1919년 5월 4일 이에 항의하는 반제국주의 운동이 베이징에서 시작되어 전국을 휩쓸었다. 돤치루이의 인기가 떨어지자 다른 군벌들이 그에 대항하는 연합전선을 폈다. 1920년 7월 그의 군대가 패하자 정치일선에서 쫓겨났다. 1924년 가을 서로 경쟁하고 있던 두 군벌 장쭤린[張作霖]과 펑위샹[馮玉祥]이 연합하여 베이징을 점령했다. 그들은 은둔생활을 하고 있던 돤치루이에게 새 정부의 수반이 되어 자신들 사이의 중재역을 맡아달라고 요청했다. 1926년 4월 장쭤린이 펑위샹을 누르고 승리를 거두자 돤치루이는 더이상 쓸모가 없게 되었다. 그는 불교연구와 자선사업을 하면서 여생을 보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