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동모

다른 표기 언어 銅鉾

요약 청동으로 만든 창의 일종.

동검·동과와 함께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기의 하나이다. 동검에서와 같이 요녕식(遼寧式)과 한국식이 있다. 동검·동과와 달리 동모에는 슴베가 없으며 자루투겁이 있어 긴 나무자루를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요녕식 동모는 영길 성성초수고(永吉星星哨水庫)를 비롯한 만주의 지린[吉林] 창춘[長春] 일대의 돌널무덤[石棺墓]에서 주로 출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함경남도 영흥 출토 거푸집을 포함하여 현재 9점이 발견되었다. 요녕식 동모 가운데 몸체의 폭이 좁고 전체길이에 비해 자루투겁이 긴 것은 여천 적량동(積良洞) 등 한반도 서남지역에서만 발견되고 있으며 몸체의 폭이 넓은 것과 날부분의 굴곡이 심하지 않은 유형의 동모는 지역성을 띠지 않고 여러 지방에서 고루 발견된다. 한국식 동모는 평안북도와 함경북도 일대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청동기시대의 널무덤[土壙墓]에서 전성기의 한국식 동검 및 동과, 유견동부(有肩銅斧)와 함께 출토되는 경우가 많다. 원통형의 자루투겁이 그대로 연장되어 몸체 중앙에 등대를 이루며 융기한 점과 이 등대를 갈아서 등날을 세운 점이 한국식 동모의 특징적인 면이다. 신계 정봉리, 아산 둔포리(屯浦里), 대전 탄방동(炭坊洞), 부여 구봉리(九鳳里) 등에서 출토된 자루투겁에 둥근 고리가 없고 자루를 고정하기 위한 작은 구멍이 있으며 자루투겁의 아래쪽에 띠 1줄을 융기시킨 20㎝ 내외 크기의 것이 한국식 동모 가운데 이른 형식에 속하고 함평 초포리(草浦里) 등에서 출토된 자루투겁에 고리가 있으며 날부분에 피홈이 여러 개 있거나, 피홈에 문양이 있고 20㎝가 넘는 긴 것이 늦은 형식에 속한다. 늦은 형식의 한국식 동모는 일본에 전해져 야요이시대[彌生時代]의 대형 방제품 제작의 조형(祖形)을 이룬다. 한국식 동모는 한국식 청동기문화의 전성기인 BC 2세기경에 한국식 동검과 함께 출현하여 본격적인 철기사용이 이루어지는 AD 1세기말경에 소멸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국방

국방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동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