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도쿠가와 요시무네

다른 표기 언어 Tokugawa Yoshimune , 德川吉宗 동의어 마쓰다이라 요리히사, 松平頼久
요약 테이블
출생 1684. 11. 27, 일본 기이[紀伊]
사망 1751. 7. 12, 에도[江戶]
국적 일본

요약 일본 도쿠가와 바쿠후[德川幕府]의 제8대 쇼군[將軍].

중앙행정조직을 완전히 재편성하여 일시적으로나마 바쿠후의 몰락을 막았던 교호개혁[享保改革]의 추진자로 유명하다. 그는 원래 기이 한[紀伊藩]의 한슈[藩主]였는데, 이곳은 쇼군에게 후사가 없을 때 쇼군직을 계승할 수 있는 3가문 중 하나인 고산케[後三家]의 후손들이 다스리던 세습적인 봉건 영지였다. 제7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구[德川家繼]에게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1716년 요시무네가 쇼군직을 계승하게 되었다.

그는 새로운 직책을 맡게 되자 자신이 기이 한에서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하여 효과를 거두었던 조치를 실시했다.

우선 정부에서 고정급여를 받는 세습적인 가신의 숫자를 줄이고, 그 수가 늘어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대부분의 상속재산이 다음 세대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했다. 또 궁정의 사치를 근절시키고 도쿠가와 바쿠후 창시자의 소박하고 검소한 생활을 스스로 실천함으로써 훌륭한 모범을 세우고 행정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국민들의 문학적 자질을 향상시키고 규율과 통솔이라는 옛 무사들의 가치관을 심어줄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계획을 제정함으로써 국민의 도덕을 고양시키고 부패를 막을 수 있는 조처들도 실시했다.

당시 국가재정은 주로 농산물에 대한 세금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요시무네는 토지를 개간하고 쌀 경작에 쓰이지 않는 토지에서 자랄 수 있는 고구마나 사탕수수 등의 상품작물을 보급하여 농산물 수확량을 늘리고자 했다. 또한 재정상의 수입원을 확보하기 위해 상업의 독점을 허용했고 쌀 가격을 규제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러한 교역제한조치는 경제를 침체시키는 결과만 가져왔다.

아무튼 이 개혁을 통해 정부는 활기를 되찾게 되었지만,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일본에서 가장 위대한 개혁자의 한 사람이라는 평가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의 개혁조처들은 문제를 일시적으로 유예시킨 데 불과해 그가 물러나자 다시 부패와 무능이 만연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요시무네의 탐구정신이 계기가 되어 일본의 서양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그는 큰 지구의(地球儀)를 만들도록 지시했으며 네덜란드에서 망원경을 수입하기도 했다. 그는 도쿠가와 시대(1603~1867)의 첫번째 법전을 만들도록 지원했는데, 요시무네가 죽은 뒤에야 완성된 간세이[寬政] 법전은 기존법에 비해 좀더 인간적인 법의 바탕이 되었다. 1745년 그는 아들에게 쇼군직을 물려주었으나 죽을 때까지 후견인으로서 활약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도쿠가와 요시무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도쿠가와 요시무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