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도치법

다른 표기 언어 inversion , 倒置法 동의어 도역법, 倒逆法

요약 수사법의 하나. 하나의 문장 안에서 낱말과 구가 놓여야 할 정상적인 순서를 뒤바꾸어, 읽는 이로 하여금 지루함을 없애주는 것으로 도역법(倒逆法)이라고도 한다.

문장 가운데 특별히 어떤 부분을 강조하거나 감정의 격화된 상태, 즉 놀람이나 감탄의 경우에 주로 쓰인다.

내용의 자연적인 순서를 바꾸는 것과 문법상의 정치법(正置法)에 의해 언어의 배열 순서를 바꾸어 놓는 2가지가 있다. 내용의 자연적인 순서를 바꾸는 것은 문법상으로는 정치법일지라도 논리적으로는 도치법이다. 다음의 예가 여기에 속한다. "가슴에는 외로움이 가득하고 사랑하는 사람은 떠났다." 언어의 배열 순서를 바꾸어놓는 경우는 시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영시(英詩)를 예로 들면 형용사를 수식하는 명사 뒤에 놓거나("the form divine"), 동사를 주어 앞에 놓거나("came the dawn"), 명사를 전치사 앞에 놓는다("worlds between"). 우리나라 시를 예로 들면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김소월의 〈진달래꽃〉 중에서)의 경우이다. '아니'라는 부사의 위치가 '눈물' 뒤에 놓여야 마땅하지만, 화자의 각오를 더욱 강조하기 위해 '눈물' 앞에 놓았다.

일상언어에서도 배열 순서를 바꾸어 쓰는 때가 많다. 우리말의 정상적인 어순은 보통 주어가 맨 앞에, 서술어가 맨 끝에 오지만, 예를 들면 "안 먹었다니, 너 같은 돼지가!"는 문장성분의 자리가 바뀐 경우이다. 지나친 도치법의 사용은 오히려 내용을 산만하게 전달하거나 경망스러운 느낌을 주기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도치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