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도리사에 있는 고려 중기의 석탑. 보물 제470호. 높이 330㎝. 각 부재의 결합방식이 특이한 이형 석탑이다. 지대석 위에 있는 기단부의 각면은 8개의 방주로 이루어졌으며 그위에 몇 개의 판석으로 된 갑석이 놓여 있다. 탑신은 3층인데 1·2층은 크고 작은 석재로 구성되어 모전석탑과 비슷하며 옥신과 옥개석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다.
1층은 각면을 사각형의 석재를 사용하여 3중으로 쌓았으며, 옥개석은 일반석탑과 달리 층급받침이 없고 모전석탑처럼 윗면에 몇 개의 층단이 있다. 2층은 석재를 2중으로 쌓았는데 남면 중앙에 문비형을 모각한 판석을 끼웠다. 3층은 옥신과 옥개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고 옥개석의 낙수면에 2단의 굄을 두었으며, 상륜부는 노반·석주·연화·보주로 이루어졌다. 이 석탑은 탑신부의 옥신을 여러 개의 석재로 중첩 결구한 점에서 모전석탑 형식이 엿보이지만 유례가 없는 특수한 석탑으로 경상북도 지방에서 유행한 방단식 석탑형식과 상통하는 면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