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닝보

다른 표기 언어 Ning-po , 寧波
요약 테이블
위치 중국 저장 성 동부, 융장 강과 위야오 강의 합류 지점
인구 4,405,292명 (2022년 추계)
면적 9,816㎢
언어 중국어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요약 중국의 행정구역. 옆으로 융장 강이 지나고, 강어귀로부터 상류로 25㎞ 떨어진 지점에서 융장 강의 서쪽 제일 큰 지류인 위야오 강과 만난다. 지역 상업의 중심지이자 동북 저장 성의 번화한 항구이다. 3,000t의 기선이 정박할 수 있고 상하이까지 정기 배편이 운항되고 있다. 근처에 있는 베이룬 항은 중국 최대규모의 이동식 독 가운데 하나로 설계되어 호주산 철광석을 수입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이 도시에는 항저우를 거쳐 상하이로 이어지는 철로가 놓여 있다. 평야지대에서 생산되는 목화와 그밖의 농산물, 연근해 어업의 해산물과 내륙지역 산림에서 나오는 목재 등의 집산지이자 석탄·석유·직물류·소비재 상품의 유통 중심지이다.

닝보(Ning-po)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닝보는 강하구가 진흙 사주임에도 불구하고 고대로부터 항구의 역할을 해왔다. 닝보는 강입구 서쪽 기슭에 전하이[鎭海]라는 외항을 두었는데, 이 항구는 원래부터 어항이었다.

625년에 동쪽으로 몇 ㎞ 떨어진 곳에 있던 현이 현재 닝보 위치로 옮겨갔고, 738년 독립주인 명주(明州)의 주청소재지가 되었다. 625년부터 사용되던 무현이란 이 현청소재지의 이름은 908년에 인 현으로 개칭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남송(南宋:1126~1279) 때인 1198년에 명주는 경원부(慶元府)로 승격된 뒤, 원(元:1271~1368)나라 때까지 계속 이 이름으로 불렸다. 1368년 닝보 부가 된 뒤 1912년까지 이 이름을 유지했으나, 현으로 지위가 떨어진 뒤 다시 옛 지명 인 현으로 불리게 되었다.

닝보는 5세기 말엽 백제의 배가 중국 남부의 수도인 난징[南京]과 접촉하기 편리한 항구를 찾게 되면서 그 중요성이 처음으로 부각되었다(이때 난징은 建康으로 불렸음). 당대(唐代:618~907)까지 이 항로가 계속 사용되었으며, 838년 외교관계가 끊어진 뒤에도 대규모 민간교역이 계속 이루어졌다(국제무역).

11세기에는 연안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항저우[杭州]가 남송의 수도가 되면서, 수도로 들어가고 나오는 해상무역이 닝보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자 그 중요성이 점차 커져갔다. 이 도시는 송·원대에 급격히 성장했다.

(明:1368~1644) 초기에 닝보의 발전은 장애에 부딪쳤다. 해상무역이 정부에 의해 축소되고 외양항해용 선박의 건조 역시 금지되었다. 심지어 연안무역마저도 엄격히 통제되었다. 닝보는 왜구의 침략을 받게 되자 방어기지로 어느 정도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나 여전히 성장은 침체되었다.

1475년 이후 내륙지역의 농업이 발달하면서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이러한 번영의 회복은 1545년에 시작된 포르투갈인과의 무역에 도움을 받았다. 이들의 무역은 처음에는 불법이었으나, 1567년 이후 합법화되었다. 이후 네덜란드와 영국의 상인들이 들어왔고 닝보의 상인들은 필리핀, 타이완과의 교역 외에도 만주에서 광둥[廣東]에 이르는 연안무역을 시작했다.

닝보는 사오싱[紹興] 동부에 있는 해안평야의 상업중심지이자 양쯔 강[揚子江] 삼각주의 외항으로, 운하에 의해 첸탕 강[錢塘江]과 연결되었다. 그 결과 닝보 상인들은 17~18세기 국내무역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고, 19세기 초엽 은행가로서 전국으로 활동범위를 넓혔다. 1843년 닝보는 조약항으로 해외무역을 위해 개방되었지만, 교역이 쇠퇴해가면서 상하이에 그 지위를 내주게 되었다.

오늘날 닝보는 지역 상업의 중심지이자 동북 저장 성의 번화한 항구이다. 3,000t의 기선이 정박할 수 있고 상하이까지 정기 배편이 운항되고 있다. 1979년 대규모 여객 터미널이 세워졌다. 근처에 새로 생긴 베이룬 항[北侖港]은 중국 최대규모의 이동식 독 가운데 하나로 설계되어 호주산 철광석을 수입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또 이 도시에는 항저우를 거쳐 상하이로 이어지는 철로가 놓여 있다.

닝보는 또한 근해 정크·운하·도로 등 운송망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평야지대에서 생산되는 목화와 그 밖의 농산물, 연근해 어업의 해산물과 내륙지역의 산림에서 나오는 목재 등의 집산지이자 석탄·석유·직물류·소비재 상품의 유통 중심지이다.

1984년 닝보는 외국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새로운 개방정책으로 중국의 '개방도시' 가운데 하나로 지정되었다.

면사방적·제분·직물·담배공장이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세워졌고, 1949년부터 공업화가 계속 진행되었다. 직물공업은 새로운 직물·편물·염색·실방적공장으로 확대되었다. 제분·기름짜기·정미·양조업 등과 특히 통조림가공 등의 식품가공업이 대규모로 발전했다. 이에 더하여 많은 제조업이 육성되었다. 대형조선소에서 어선들이 건조되고 있으며, 공장에서도 디젤엔진·농기계 및 그밖의 기계류·발전기·공작기계·석유화학제품 등이 생산된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도서관인 톈이거[天一閣]가 도시 서쪽에 있다. 이 도서관에는 11세기경에 쓰여진 희귀한 책과 문서들이 소장되어 있고 그중에는 명대에 쓰여진 이 지방 특유의 연대기가 여러 권 포함되어 있다.

지도
닝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닝보


[Daum백과] 닝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