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니포

다른 표기 언어 Agostino Nifo
요약 테이블
출생 1473경, 나폴리 왕국 세사
사망 1538 이후
국적 이탈리아

요약 르네상스 시대의 철학자.
(라). Augustinus Niphus/Niphus Suessanus. Nyphus라고도 씀.

처음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반그리스도교 관점에서 해석했으나 나중에 개인의 영혼불멸을 주장한 영향력있는 그리스도교 옹호론자가 된 것으로 유명하다.

1490년경 파도바대학교에서 니콜레토 베르니아와 시제 드 브라방이 주장한 아베로에스 학파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공부했다. 이 철학 학파는 12세기 아랍의 철학자·의사였던 아베로에스의 원리에 따라 아리스토텔레스를 해석했으며, 세계의 영원함과 모든 유한한 인간의 영혼을 포괄하는 불멸의 보편 지성을 강조했다. 그의 저서 〈지성과 악마에 관하여 De intellectu et daemonibus〉(1492)에는 이러한 아베로에스 학파의 가르침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뒷날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한 아베로에스의 주석서들을 비판적으로 편집하면서 시제 드 브라방의 방식을 따라 그리스도교 교리에 더욱 근접한 결론을 내렸다.

1496년 엄격한 아베로에스주의자 피에트로 폼포나치의 뒤를 이어 파도바대학 철학과장이 되었으나 폼포나치가 복직하자 자리에서 물러났고, 그뒤에는 잇따라 나폴리·로마·살레르노 대학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피렌체 학파의 신플라톤주의에 영향을 받으면서 자신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13세기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종합한 그리스도교 신학과 부합하도록 바꾸었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교황 레오 10세의 요청으로 〈폼포나치에 반대하여 영혼불멸을 논함 Tractatus de immortalitate animae contra Pomponatium〉(1518)을 썼다.

이 글에서 인간 영혼은 본성상 죽으면 사라지는 물질적 유기체라는 폼포나치의 견해를 논박했다. 인신공격으로까지 나아간 이 논박에서 니포는 폼포나치가 비물질적 관념과 그것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영혼을 신체적 유기체 이상의 어떤 것으로 만드는 지적 능력 사이의 본래적 관계를 고려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 저작이 성공을 거둠으로써 니포는 1520년 백작작위를 받았다.

피사대학 교수로 임명된 뒤, 1523년경 통치윤리에 관한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논문 〈군주론 Il principe〉(1513)을 표절한 〈통치술에 관하여 De regnandi peritia〉를 출판했다. 이때문에 몇몇 주석가는 니포가 그당시에 이미 자신의 지적 관심을 시대에 영합하는 아첨꾼의 관심과 바꿔버렸다고 판단하기도 했다. 그밖의 저술로는 아리스토텔레스 저작에 관한 14권의 주석서(1654), 정치학과 도덕에 관한 논문들, 〈아름다움과 사랑에 관하여 De Pulchro et Amore〉라는 낭만적 수필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철학가

철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니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