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뉴캐슬

다른 표기 언어 William Cavendish, 1st Duke of Newcastle(-upon-Tyne)
요약 테이블
출생 1593경
사망 1676. 12. 25, 잉글랜드 노팅엄셔 웰벡
국적 영국

요약 영국 내란(청교도 혁명) 때 활약한 왕당파 사령관.
Viscount Mansfield, Baron Ogle of Bothal(1620~), Earl of Newcastle-on-Tyne, Baron Cavendish of Bolsover(1628~), Marquess of Newcastle-on-Tyne(1643~)이라고도 함.

시인·극작가 등을 후원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찰스 캐번디시 경의 아들이며 케임브리지대학교 세인트 존 칼리지를 다녔고 상속과 왕의 총애로 엄청난 부자가 되었다. 1620년 맨스필드 자작이 되었고 1628년 뉴캐슬어폰타인 백작이 되었으며 일생 동안 벤 존슨, 제임스 셜리, 윌리엄 대버넌트, 존 드라이든, 토머스 새드웰, 리처드 플렉노, 토머스 홉스, 피에르 가생디, 르네 데카르트 등을 후원했다.

찰스 1세가 1642년 전면전을 선포했을 때, 북잉글랜드 4개주의 통솔권을 부여받은 그는 11월에 요크셔로 쳐들어가 요크의 포위를 풀고, 그곳을 점령하고 있던 페어팩스 경을 철수시켰다. 1643년 1월에 토머스 페어팩스가 리즈를 다시 점령함으로써 자신의 전투계획이 방해받자 요크로 철수했다. 2월에는 외국에서 돌아온 왕비를 호위해 요크를 거쳐 옥스퍼드로 갔으며 곧이어 웨이크필드·로더럼·셰필드 등을 점령했으나 다시 페어팩스에게 이 지역을 빼앗겼다. 그러나 6월 30일에 애드월튼 무어에서 페어팩스 군대를 물리쳐 헐과 레셀캐슬을 뺀 요크셔 모두를 차지했다. 그뒤 바로 링컨셔로 쳐들어가 동부 연합군을 공격하여 게인즈버러와 링컨을 빼앗았다.

그곳에 돌아와 헐을 포위했으나 그가 링컨셔에 남겨 놓은 병력은 1643년 10월 11일 윈스비에서 올리버 크롬웰에게 패했고 이 패배로 링컨셔 전지역을 잃었다. 1643년 10월 27일에 후작이 되었고 이듬해 스코틀랜드인이 쳐들어오자 요크로 후퇴했으나 스코틀랜드군, 페어팩스 경의 군대, 맨체스터 백작의 군대 등 3개군에게 포위당했다. 왕당파군 사령관 루퍼트 공(公)이 7월 1일 이들 연합군과 싸워 포위를 풀었으나 다음날 뉴캐슬의 바람과는 달리 마스턴 무어에서 3개군과 싸움을 벌여 참패한 뒤 왕당파군 지지를 포기하고 잉글랜드를 떠날 뜻을 밝혔다.

1644년 7월부터 1645년 2월까지 함부르크에서 살았고 4월에 파리로 갔다. 1648년 파리를 떠나 로테르담으로 가서 반란을 일으켰던 해군을 지휘하고 있는 찰스 왕자와 합세했고 마침내 안트웨르펜에 자리를 잡았다. 1650년 4월 찰스 2세의 추밀고문관으로 뽑혔고 클래런던 백작 에드워드 하이드와 입장을 달리해 스코틀랜드와의 협정체결을 지지했다. 왕정복고가 되자 잉글랜드로 돌아와 비록 빚더미에 올라 있긴 했지만 재산의 상당 부분을 되찾았다. 찰스 1세 때 보유한 직위를 다시 찾았고 1661년에 가터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1665년 3월 16일 공작이 되었으나 공직에서는 물러났다.

다양한 글과 여러 희곡을 썼고 존 드라이든의 도움을 받아 몰리에르의 〈경솔한 사람 L'Étourdi〉을 〈경솔한 마틴 경 Sir Martin Mar-All〉(1688)으로 번역했다. 외아들 헨리가 그의 뒤를 이어 뉴캐슬 공작 2세가 되었지만 1691년에 죽어 공작위가 끊어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뉴캐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