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옥스퍼드 운동이 시작되었을 때 뉴먼은 이 운동의 가장 명쾌한 사상을 제공한 유능한 조직가요, 지성적인 지도자였다. 이 운동은 영국 성공회에서 일어난 고교회파 운동으로 영국 성공회의 종교 전통에서 가톨릭 요소들을 강조하고, 교회를 개혁하려는 목적으로 1833년 옥스퍼드에서 시작되었다.
뉴먼은 〈시대사조 Tracts for the Times〉의 편집을 맡고 여기에 24편의 논문들을 기고했지만, 이 논문들보다 그가 쓴 책들, 특히 권위에 대한 옥스퍼드 운동의 교리를 진술하여 이 방면에서 고전이 된 〈교회의 예언자적 직무에 대한 강의〉(1837), 마찬가지로 종교적 신앙이론에 대한 고전인 〈대학설교집〉(1843), 그리고 무엇보다도 〈교구민을 위한 평이한 설교집〉(1834~42)이 이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이 마지막 책은 출판되어 전국에 보급되면서 운동의 원칙을 가장 잘 대변했다.
1838~39년 뉴먼은 영국 성공회에서 폭넓은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당시 새로운 자유주의 시대를 맞아 교회의 교리적인 권위를 다시 한 번 강조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고, 또 이런 상황에서 사람들이 보기에 뉴먼은 자기가 어디에 서 있으며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정확히 알고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추종자들에게 설교한 대로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게다가 예리하고 때로는 사람을 사로잡는 글을 쓰는 천부적 재질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뉴먼은 영국 성공회가 진정한 가톨릭주의를 대표하며, 이 가톨릭주의(한편으로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반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가 '대중적 프로테스탄트교도들'이라고 일컬은 교회들과 대조됨)의 시금석은 분열되지 않은 고대 교회 교부들의 가르침이라고 주장했다(→ 성공회 가톨릭 운동).
1834년부터 그의 중간적인 입장은 종교개혁을 경시한다는 이유로 공격을 받기 시작했으며, 1838~39년 뉴먼과 키블이 종교개혁을 맹렬히 비판한 프루드의 책 〈유물들 Remains〉을 출판하자 온건파 사람들은 그들의 지도자 뉴먼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그들이 우려하던 최악의 상황은 1841년 뉴먼이 〈소책자 90 Tract 90〉을 출판함으로써 현실로 나타났다.
이 책은 '39개 조항'을 분열되지 않은 초기 교회의 가르침과 조화시키는 과정에서 39개 조항이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결정된 교리들과 모순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듯한 인상을 주었으며, 뉴먼의 급진적인 제자 W.G. 워드는 이것이 바로 그의 결론이라고까지 주장했다. 옥스퍼드의 주교 리처드 배거트는 이 소책자의 배포를 중지시켰다.
잇달아 쏟아지는 비난 속에서 뉴먼은 점차 고립되어갔고 자신감을 잃었으며 영국 성공회의 보편성에 대한 신념도 약해졌다. 그는 옥스퍼드를 떠나 리틀모어에 있는 자신의 예배당으로 가서 가까운 제자 몇몇을 모아 준(準)수도원을 형성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뉴먼의 옥스퍼드 운동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