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중국의 소수민족인 누족[怒族]의 언어.
시노티베트어족 티베트미 얀마어군에 속한다. 사용인구는 약 2만 3,000명에 이르며, 윈난 성[雲南省] 누장리쑤족 자치주[怒江傈僳族自治州]의 비장 강[碧江], 푸공[福貢], 리장 강[麗江] 지구, 그 안 에서도 란핑 현[蘭坪縣], 웨이시 현[維西縣]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중국 외의 지역으로 는 미얀마 북부에 분포한다. 누어는 그 언어 내부에서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비장 강, 푸공 현, 란핑 현 등지의 사람들은 서로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이다. 비장 강 지역에서 사용하는 누어의 어음 특징은 다음과 같다. 44개의 단자음과 15개의 이중자음이 있으며 36개의 단모음이 있다. 이 단모음은 기본적으로 느슨한 모음, 긴장된 모음, 비음화(鼻音化)된 모음의 3종류로 나누어진다.
그밖에 몇 개의 권설모음(捲舌母音)이 있는데, 이는 위에 서술한 3가지의 특성 가운데 하나 혹은 2가지의 특성을 지닌 모음이 다시 권설음화를 일으킨 것이다. 또한 뒷소리가 복음인 모음이 37개 있으며, 자음의 운미(韻尾)가 없고, 4가지 성조가 있다. 어법에서 중요한 것은 허사와 어순에 의해 각종 문장성분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어순은 대략 다음과 같다.
주어는 술어 앞에, 목적어는 동사 앞에 놓이며, 한정어 구실을 하는 명사는 피수식어 앞에, 한정어 역할을 하는 형용사·수량사 등은 피수식어 뒤에 놓인다. 부사는 대부분 피수식어 앞에 놓이지만 몇몇 부사는 피수식어 뒤에 놓이기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