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농종법

다른 표기 언어 壟種法

요약 농작물 파종법의 하나.

밭의 이랑(두둑)을 만들고 그 이랑 위에 골뿌림[條播]하거나 점뿌림[點播]하는 방법이다. 이와는 달리 이랑을 만들고 이랑과 이랑 사이의 골[溝]에 파종하는 것을 견종법(畎種法)이라 하고, 전혀 이랑을 짓지 않고 밭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그 위에 흩어뿌림[撒播]하는 파종법을 만종법(縵種法)이라 한다. 이 3가지 파종법 가운데 작물의 종류나 파종시기, 토양의 조건과 노력, 형편 등에 따라 알맞는 방법을 택한다.

생산력을 기준으로 해서 보면 만종법은 파종노력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으나, 농종법과 견종법보다 수확량이 떨어지므로 목초를 제외하고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파종법의 발달과정을 보면 고대에는 주로 만종법이 쓰였는데, 말과 소가 이용되고 밭갈이하는 쟁기가 발달되면서부터 농종법과 견종법이 함께 분화되었다.

농종법과 견종법의 구분은 파종할 작물의 생육기가 여름 비가 내리는 시기에 해당되는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 즉 생육기가 비오는 시기에 걸쳐 있는 대부분의 여름작물은 농종법으로 파종한다. 여름작물을 견종법으로 골에 파종하게 되면, 비오는 계절에는 토양에 습기가 많아져 작물이 장기간 침수되므로 정상적인 생육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농종법의 이점은 이상과 같은 배수처리 외에도 채광과 통풍이 좋고, 이랑 사이의 골에 난 잡초를 제거하는 노력도 적게 든다는 점이다. 주로 밭벼·기장·조·피·콩 등이 농종법으로 파종되는 작물이다.→ 견종법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산업

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농종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